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알티스
알티스

비토권이란 개념은 어디서 처음 시작된 건가요?

비토권은 특정한 사안에 대해 반대할 권리를 의미합니다. 주로 정치나 법률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정 결정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한 경우에 해당하는데요. 저는 처음엔 비토.. 한문표기인줄 알았어요. 그런데..영어더군요. 그럼 비토권이란 개념은 어디서 처음 시작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말평온한푸들
    정말평온한푸들

    말그대로 영어로 veto 거부권이라는 의미의 단어입니다.

    이 개념은 고대 로마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정이 들어서면서 1년 임기의 집정관 2명을 선출하는 제도를 설립했는데, 이것이 한 명의 독재를 막을 수는 있지만 실무적으로는 최종 승인권자가 둘인 만큼 둘이 모두 집무를 보면 번거롭고 혼란스러울 뿐이라는 문제가 있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집정관 둘이 교대로 한 달간 번갈아가며 맡는 것으로 정하고 대신 그 달의 실무를 하지 않는 집정관은 상대 집정관의 정책 중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여 한달 단위로 번갈아가며 집정하여 독재를 하는 사태를 방지했습니다.

    이러한 권리는 라틴어로 '나는 해당 법률의 재정을 금지(거부)한다'는 단어인 veto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비토권(Veto)**의 개념은 고대 로마 공화정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토(Veto)는 라틴어로 "나는 반대한다(I forbid)"라는 뜻이며, 고대 로마에서 특정 정치적 권한을 가진 인물이 법안이나 결정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고대 로마에서의 비토권 기원

    1. 로마 공화정의 호민관(Tribune of the Plebs)

    로마 공화정 시기, 호민관은 평민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직책이었고, 귀족 계급의 결정으로부터 평민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호민관은 **'비토권'**을 통해 귀족원(Senate)의 결정이나 법안을 거부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평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호민관의 비토권은 로마 정치의 중요한 제도적 장치 중 하나였습니다.

    2. 로마 원로원의 결정과 비토권

    로마의 정치 체제에서는 원로원(Senate)이나 집정관(Consul) 등 고위 관직자 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의 권한을 견제할 수 있는 장치로 비토권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법안이 일방적으로 통과되지 않고, 신중하게 논의될 수 있었습니다.

    현대적 의미로의 확장

    고대 로마의 비토권 개념은 이후 다양한 정치 체제와 제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현대 민주주의 체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국가원수의 법률 거부권:

    예를 들어, 미국 대통령은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에 대해 비토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회가 다시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법안을 통과시키면 비토를 무효화할 수 있습니다.

    국제 기구에서의 비토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상임이사국(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은 중요한 결의안에 대해 비토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국가가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결정을 거부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제공합니다.

    결론

    비토권은 고대 로마 공화정에서 기원한 개념으로, 권력의 견제와 균형을 위해 도입된 정치적 제도였습니다. 라틴어에서 비롯된 이 단어는 이후 전 세계적으로 정치와 법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현대적인 민주주의와 국제 정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