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의 색상이 참 다양하네요. 구름의 색상에 따른 기후변화와 전문용어를 알고 싶어요?
고속도로를 운전하다가 하늘을 보았습니다. 흰색구름, 회색 구름, 좀더 짙은 회색구름, 그리고 시꺼먼 구름인데 처음보았습니다. 정말 새까만 구름이 한쪽 면을 다 덮었습니다. 제가 가는 곳은 비가 조금 내렸지만, 시꺼먼 구름이 산을 다 덮어있던데 아마도 많은 비가 내릴지 않을까 싶습니다. 색상에 따른 구름의 이름과 기후변화 그리고 전문적 용어해설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이 희고 검은 것은 빛의 통과 정도에 따라 달라지게됩니다.
입자가 비교적 작은 수증기로 존재하는 구름의 경우, 빛이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됨에 따라 흰색으로 보이게됩니다.
반대로 수증기들이 물방울을 형성할 경우에는 입자가 커지고 간격이 멀어지다보니 빛의 통과가 많아져 검은색의 구름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 올 때 구름이 검게 보이는 이유가 바로 위 이유때문입니다.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짧은 칸에 모든것을 적기는 힘들지만
보통 구름은 적운형과 층운형이 있습니다. 넓게 펴지면 층운형, 높게 솟아나 있으면 적운형이죠.
색상은 비구름을 머금은지 여부에 따라 검어지고 맑다면 순수 구름인거죠. 별도의 과학적 호칭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상은 구름의 높이, 밀도, 수분 함량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흰색 구름은 대기권의 가장 높은 층인 성층권에서 형성되는 고층운(積雲)입니다. 고층운은 구름 입자가 작고 밀도가 낮아서 햇빛을 많이 반사하기 때문에 흰색으로 보입니다.
회색 구름은 중간층인 중층운(積雲)과 난층운(亂層雲)입니다. 중층운은 흰색 구름보다 구름 입자가 크고 밀도가 높아서 햇빛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회색으로 보입니다. 난층운은 구름 입자가 중층운보다 더 크고 밀도가 높아서 햇빛을 거의 흡수하기 때문에 어두운 회색으로 보입니다.
짙은 회색 구름은 저층운(積雲)과 층적운(積雲)입니다. 저층운은 구름 입자가 난층운보다 더 크고 밀도가 높아서 햇빛을 거의 흡수하기 때문에 짙은 회색으로 보입니다. 층적운은 구름 입자가 저층운보다 더 크고 밀도가 높아서 햇빛을 거의 흡수하기 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시꺼먼 구름은 적란운(積亂雲)입니다. 적란운은 구름 입자가 가장 크고 밀도가 가장 높은 구름으로, 번개와 천둥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란운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빠르게 응결하면서 구름 입자가 커지기 때문에 시꺼멓게 보입니다.
고속도로를 운전하다가 보신 시꺼먼 구름은 적란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적란운은 대기 중의 불안정성이 큰 상태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많은 비와 함께 강한 바람, 번개, 천둥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