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률을 산정하는 공식은 무엇인가요?
고용률 공식은 기억이 나는데 취업률을 구하는 방법을 모르겠어요. 고용률과 실업률의 정의가 어떤 것이 다른지도 같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취업률 공식은 취업자수 / 전체노동가능인구 x 100입니다.
고용률은 전체인구 대비 취업자수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며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 수의 비율을 나타낸 공식이랍니다^^
취업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취업자 수를 1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하면 됩니다. 취업률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취업률을 산정하는 공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취업률 = (취업자 /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취업 대상자) * 100 으로 취업률을 산출한다고 합니다.
취업률은 특정 집단에서 취업한 사람의 비율을 계산하는 지표입니다.
'취업률 = (취업자 수 ÷ 전체 경제활동인구) × 100'
'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고용률은 경제활동인구뿐만 아니라 전체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고용률 = (취업자 수 ÷ 전체 인구) × 100'
취업률은 경제활동인구를 기준으로 계산하며 취업 여부 만을 다루며, 고용률은 전체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하며 경제활동 여부와 관계없이 전체 인구에서 취업자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실업률은 '실업률 = (실업자 수 ÷ 경제활동인구) × 100'로 계산합니다.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일을 하고 싶어하지만 구직에 성공하지 못한 사람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취업률과 실업률은 서로 반비례 관계로 경제를 이루는 하나의 지표입니다. 취업률이 높으면 실업률은 낮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취업률은 취업자 수를 노동력 인구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의 비율을 나타내며, 실업률은 경제 활동 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