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바다가 지구산소 50프로를 생산했다고 하는데 그 과정이 궁금합니다.

지구의 산소는 50프로가 바다가 생산했을거라고 추정한다는 의견을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바다가 어떻게 지구산소 50프로를 생산할수 있었던건지 그 과정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지구의 산소는 대부분 바다에서 생산됩니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8%를 차지하며, 말씀하신 50%보다 높은 전체 산소 배출량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이 산소는 바다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바다의 해조류가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해조류는 태양빛을 받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물과 결합하여 포도당과 같은 양분을 만들어내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가 생성되어 대기로 방출됩니다. 이렇게 해조류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가 지구의 산소 50%를 생산할 수 있었던 이유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 과정 때문입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지구의 모든 생명체의 기초가 되는 생물로, 지구의 표면 약 70%를 차지하는 바다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햇빛을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결합하여 산소를 생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가 지구의 산소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바다에서 발생하는 주요 산소 생산 과정은 바다 식물인 조류의 광합성입니다.

    조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광합성 유기물 생산자로서 역할을 합니다. 조류는 해수 중의 탄소, 물, 그리고 햇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 작용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합니다. 이산화탄소와 물을 사용하여 탄소와 산소가 유기물로 결합되는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합니다.

    이로 인해 조류는 산소를 방출하면서 바다에서 지구의 산소 생산에 기여합니다. 사실상 지구의 산소 생산량의 약 50%는 바다에서 발생하는 광합성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바다의 생물들이 호흡과 대사 과정에서 일부 산소를 소비하지만, 전반적으로 해양 생태계의 광합성 작용으로 인해 지구에 산소가 공급되는 양이 더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