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따따따
따따따

지구온난화로 인한 플랑크톤 변화, 강과 바다의 색깔이 달라진다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플랑크톤 변화, 강과 바다의 색깔이 달라진다고?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플랑크톤의 변화가 큰 이슈가 되고 있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특히, 강은 초록색으로, 바다는 빨간색으로 물들어진다고 하는데요.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로 강, 호수,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 및 부영양화 녹조현상과 적조현상이 일어나고 있어요.

    녹조현상은 유속이 느린 강, 하천, 호수에서 질산염, 인산염, 무기염류가 증가하면서 부영양화되면 오염 물질의 영양분을 먹고 사는 남조류와 식물성 플랑크톤이 과도한 성장으로 급격히 번식하면서 초록색을 띠게되요.

    이를 먹이로 살아가는 동물성 플랑크톤과 수중생물도 증가하면서 초록색을 띤 녹조류때문에 수질오염되고 물속의 산소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죠.

    녹조현상의 오염원은 여름철 높은온도, 생활하수, 공장폐수, 화학비료, 가축배설물 등 오염원으로 부터 영양분의 과잉 등으로 수질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요.

    적조현상은 바닷물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비가 많이내려 영양분(질산염, 인산염, 무기염류 등)이 많은 강물이 바다로 유입되면서 플랑크톤이 살기 좋은 환경으로 개체수가 갑자기 많이 늘어나면서 바다에 띠를 이루어 적색으로 바뀌는 현상이 일어나요.

    이렇듯 바다에 적조현상이 일어나면 플랑크톤이 산소를 많이 소모하게 되어 물속에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독성을 가진 플랑크톤으로 수많은 물고기와 수중생물들이 떼죽음을 당하게 되면서 피해가 크기 때문에 초기에 황토를 뿌리는 방법 등으로 막아야 해요.

    녹조와 적조는 DO(용존산소량)작고,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와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는 많아져 수질오염이 심각해져요.

    즉, 오염된 물일수록 BOD, COD는 크고 DO(용존산소량)는 작아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로 바다와 강에서 플랑크톤의 분포가 변하면서 물의 색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강에서는 녹조가 증가해 물이 초록색으로 변하고, 바다에서는 특정 플랑크톤이 번식하면서 붉은색을 띨 수 있습니다. 이는 온도 상승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적조현상과 녹조현상은 얘기하는 것으로 적조현상은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번식으로 생기며 주로 바다에어 일어납니다

    녹조현상은 물이 고인곳에서 보통 발생하며 물이 썪고 산소가 적어지며 발생합니다 주로 호수 나 댐에서 발생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