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둘기
비둘기23.02.22

조선시대 임금들의 명칭을 보면 조와 종이 붙는경우가 많은데요 조와 종은 어떤 의미적 차이가 있는건가요?

조선시대 임금들의 명칭을 보면 세종 태종 숙종처럼 종이 붙는 경우가 있고 세조 태조 선조처럼 조자가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조와 종이 다르게 붙는 이유와 각각 어떤 의미적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임금이 죽은 뒤에 그 일생을 평가하여 호칭에 조와 종을 붙여 짓는데요

    이것을 "'묘호" 라고 합니다

    조는 한 왕조를 세우거나 그에 준하는 탁월한 공이 있다는 의미로서 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큰 업적이 있는 왕들에게 붙여졌습니다

    즉, 조는 왕권을 강화하고 강력한 군사를 기른 왕들에게 대부분 주어졌습니다

    종은 덕으로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케 한 왕에게 붙여진 묘호입니다. 따라서 창업군주에 버금가는 중흥군주에게 종이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종은 문화를 발전시키고, 평화로운 시기의 왕들에게 주로 붙여졌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의 왕들의 이름은 묘호라 해서 왕이 죽고 난 후 붙는 칭호입니다.

    조와 종은 조종공덕이라 하여,

    왕의 살아 생전의 업적을 토대로

    공이 있으면 조, 덕이 있으면 종을 붙였다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를 묘호라고 하는데

    묘호는 왕이 승하하고 종묘에 신위를 모실때 붙이는 것으로 왕이 돌아가신 후 3년상이 끝나면 새로운 왕과 2품이상 대신들이 모여 조성 왕 종 조를 정했습니다.

    조는 나라를 세운 큰 업적이 있거나, 실정하는 왕을 폐위하고 나라의 어려움을 극복한 공이 있는 왕에게 붙는 묘호입니다.

    종은 나라를 다르신 덕이 있거나 선왕으로서 조선시대 왕의 자리를 지킨 왕에게 붙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의 명칭 가운데 종은 장남이 왕이 된 경우이고 조는 장남이 아닌 왕자나 삼남 또는 나머지 왕자들 중에서 왕이 된 경우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와 종은 조선시대에 사용된 두 가지 계급 구분 용어입니다. 조는 양반 중에서도 상류층을 뜻하며, 이들은 군사나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하였습니다. 반면 종은 일반 양반 계층을 일컫는 말이며, 이들은 지방 관직이나 지방 양반의 가문에 속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조와 종은 정치적 지위와 사회적 신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조는 종에 비해 권력과 지위가 높았습니다. 일반적으로 조는 향리와 관리에 흔히 발견되며, 임금의 친족 중에서도 고관급을 맡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임금들의 명칭에서 조와 종의 차이는 임금이 세상을 다스리는 법과 국가체제의 변화를 반영한 것입니다.

    조는 중국의 통치 체제에서 나온 용어로, 왕조(王朝)를 뜻합니다. 조를 사용한 임금들은 중국의 통치 체제와 유사한 체제를 채택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중국의 명나라를 본떠 조를 사용하였습니다.

    반면에, 종은 고조선 시대부터 쓰이던 용어로, 왕을 뜻합니다. 이후에는 고려와 함께 왕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조와 달리, 종은 왕의 권력에 중심을 둔 개념으로, 왕의 권위를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조선의 경우, 종은 국가주권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조와 종의 차이는 임금의 권력과 국가체제에 대한 의미적 차이를 나타내며, 조는 왕조를, 종은 왕을 강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