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진료 확인이어렵다고 실손보험이 반려되었어요
우체국 실손하고있구 질병코드 L20으로 여태까지 잘 받았는데
이번에는 반려되어서 문의드리니
L20과 L70 여러 코드중에 L70(여드름)이 들어가서 여드름목적으로 진료/처방을 받았는지 확인할수없다면서
주진료가 L20이라는것을 증명할수있는 처방전이나 진료확인서?를 가져오라고하는데
어떻게 확인할수 있나요??
L20질병으로 3주 마다 병원다니고있는데 L70이들어갔다고 안된다하네요(질병코드 맨 앞에는 L20이 적혀있긴합니다)
의사소견서인지 진단서인지 끊으면 비싼걸로 알고있어서요
대학병원다니고 있는데 주진료가 L20이라는것을 증명할수있는 무료?(몇만원내는 진단서?빼고)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진료확인서나 진료기록지는 진단서 보다 저렴하게 서류 발급이 가능 합니다.
대학병원이면 진료기록지와, 분류코드 기재된 환자용 처방전과 함께 보험사에
제출하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해당병원의 의무기록지, 의사 오더지를 통해 치료내용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니면 주치의 소견을 통해 증빙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여드름의 경우에는 보장이 안되는 면책사항이 맞습니다.
미용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여드름이 아닌 다른 것을 치료 목적으로 의사 소견서 또는
진단서가 필요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서류는 무료는 아니고 의사의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보험사 마다 틀리기는 하지만, 통원확인서로 대체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 통원확인서에 질변분류코드를 기재가 되어 있으면 이 서류로도 확인이 가능 합니다.
물론 앞서 언급하여 드린 것처럼 보험사 마다 틀리기에 이 부분은 확인을 해보셔야 합니다.
단, 통원확인서는 약 3천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아토피로 병원을 다니시면 처방전이 나올 땐데 처방전에도 질병코드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처방전을 제출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재발급은 무료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L20이 주진료 목적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의사분께서의 소견서 와 진단서 내용을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그런 후 다시 서류를 보여주시고, L70이 문제가 된다면 L70에 대한 보장청구비만 빼고 지금해달라하는 것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