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몸에는 몇 개의 뼈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람의 몸에는 뼈가 정말 많이 있잖아요 아주 어렸을 때 과학 시간에 배웠던 거 같은데
기억이 나질 않네요 사람의 몸에는 총 몇 개의 뼈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뼈의 갯수는 나이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성인이 되면 총 206개의 뼈로 발달한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약 300개의 뼈를 가지고 태어나지만 나이가 들면서 작은 뼈들이 합쳐지고 성인이 되면 총 206개가 된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어서 뼈의 갯수도 조금씩 다를 수 있다고 하네요. 가장 뼈가 많은 부위는 팔다리로 우리 몸 전체 뼈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뼈의 개수부터 알고 넘어가자. 성인의 뼈는 도대체 몇 개나 될까. 답은 206개다. 뼈가 그렇게나 많아? 하고 섣부르게 놀라서는 안 된다. 어린이의 경우 성인보다 훨씬 많은 350여 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350여 개는 의학적인 수치라고 볼 수는 없다. 예컨대 어린이의 경우 장관골(긴 뼈)의 양끝에 자잘한 뼈들의 모양이 보이는데, 이것이 성장과 더불어 장관골에 붙는 것이기 때문이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리60개
척추 총 26개
흉부 26개
골반 2개
머리28개
얼굴뼈 14개
귀 6개
팔 64개
따라서 총 206개정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보통 태어날때 약270개 뼈로 이루어지고 성장하면서 이 뼈들 중 일부는 융합되어 성인이 되면 약 206개의 뼈로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아이는 두개골뼈는 태어날 때 서로 움직일 수 있고 머리 모양을 움직여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기를 벗어나 아이가 자라면서 두대골 뼈 사이가 점차적으로 단단해지면서 최종적으로는 머리를 완전히 서로 합쳐지게 됩니다.
간혹 융합이 덜 되어 물렁물렁한 경우가 있는데 이는비정상적인 것이며 또는 이후 시간이 더 지나면 딱딱합니다.
그래서 갓난아이의 머리 정수리를 만지면 약간 물렁한 느낌이 드는 이유입니다.
성인 뼈의 구성 개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척추 총 26개
가슴(흉부) 26개
골반 2개
머리28개
얼굴뼈 14개
귀 6개
팔 64개
다리60개
총 206개정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린아이들의 뼈 개수는 약 300개입니다. 이는 물렁뼈를 포함한 개수로 어른이 되면서 줄어 든다기 보단 뼈의 일부가 융합되어 성인이 되었을때는 206개 정도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인체 골격을 이루는 뼈는 크게 몸통뼈대와 팔다리뼈대로 나눌수 있습니다
몸통뼈대는 신체 가운데에 있는 뼈와 머리, 목, 척추, 갈비뼈, 복장뼈로 구성되고, 팔다리뼈대는 빗장뼈, 어깨뼈, 팔의 뼈, 골반의 뼈, 다리의 뼈로 구성됩니다
인체의 태어났을 때 270개이지만 성장할수록 뼈끼리 서로 합쳐져서 성인이 되면 206개의 뼈를 가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렁뼈까지 합쳐서 어린아이는 300여개
성인이 되었을시는 약 200여개가 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은 206개의 뼈를 가지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두개골 22개, 설골 1개, 척추골 26개, 귀의 이소골 6개, 흉골 1개, 늑골 24개, 상지골 64개, 하지골 62개입니다.
다만 이는 성인의 기준이며 소아일 때는 최대 305개의 뼈를 가지고 성장함에 점차 합쳐진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