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완벽한다향제비256
완벽한다향제비256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입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26
기저질환
척추관협착증
복용중인 약
없음

늘 고생많으십니다. 긴글 죄송합니다. 그만큼 간절합니다.

26세 건강한 청년입니다 학창시절부터 오래 앉아있는지는 오래되었습니다.

첫증상은 2~3년 전부터였는데 그때는 이제 어느날 똑바로 누우면 목, 팔 저림 불편함 옆으로 돌아서누우면 옆구리 가 묵직해지더라고요? 등과 허리 가 굳은 느낌? 항상 동반되었고 천장골능? 골반? 허리 중앙이아닌 요방형근 쪽 이 가끔씩 찌릿! 따끔 하는 증상이었습니다.

코어운동,걷기,헬스 등등 시간을 보내며 대수롭지 않게 보내왔는데

어느날부터 발바닥 중상부쪽과 발가락들 이 불타는것처럼 얼얼하고 옆으로 누우면 옆구리 부터 시작해서 항문쪽이 시원한듯? 싸하고 묵직하고 똑바로누우면 다리저림은 없는데 발바닥이 찌릿하고 피가 안통하면서 얼얼하여 불쾌하고 일어나면 다리가 상당히 붉어져있습니다. 허리통증은 좀 덜하고 저리는 느낌은 없습니다 허벅지와 근육들이 가끔 꿈틀거리고 그럽니다.

그리고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은 있습니다 그러나 노인분들처럼 뭐 걷다가 힘빠져서 못걷겠다 이런게 아니라

헬스 , 달리기, 걷기 코어운동 플랭크 등 무리한동작들도 동작에 지장이없고 이에 동반하는 휴유증과 통증또한 없습니다.

그저 기지개를 펴도 다리가 개운해지지 않는다? 뭔가 힘이 싸~하게 없는느낌? 약간의 불쾌감? 운동을 심하게 해서 알이배겨서 힘든 느낌? 그정도의 불편함이고 달리기나 척추관협착증에관한 재활운동 등을 하면 나아집니다.

허리디스크 자가진단을 해도 (누어서 다리올리기, 발뒷꿈치 걷기 까치발 걷기 등등, 허리 숙이기 ,코어운동) 저림과 통증은 없어 없다고 판단하는데 증상들이 대부분 척추관협착증과 더 가깝습니다.

그래서 너무 답답하고 무서워서 여쭤봅니다.

1.전문가분들이 보시기에도 척추관협착증이 맞나요? 제증상은 심각한상황인가요? 중기정도 되었을대 나오는 증상들이라고는 나옵니다만...내원해야되나요?

2. 정선근 교수님의 백년허리를 보며 협착증도 결국엔 디스크며 똑같은 신전운동 요추전만으로 치료해야한다고 하시는데 이이게 맞나요? 그것들을 하였을대 딱히 통증은 없습니다만.. 많은 의사분들은 아무래도 척추관협착증은 젖히는게 안좋다고하시니까... 통증이 없다면 시간을 두고 신전운동. 계속 진행해도 되나요?

3.의자에 안앉아있기는힘든데 일반적인 요추 전만 의자 기댓을때 110도 정도로 허리에 안정성과 부담을 줄여주는 의자

이거 사용해오 될까요 ? 아니면 협착증환자는 90도 의자가 좋나요?

4.걷기 외에 도움이 되는 운동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조깅정도는 해도 되나요? 달릴때 충격이 아프거나 하진않는데 몸에 좋은 충격일까~생각이 간혹 듭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26세의 젊은 나이에 척추관 협착증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보통 50대 이후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증상만으로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1. 척추관 협착증의 전형적인 증상은 간헐적 파행(neurogenic claudication)입니다.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 오래 서 있으면 다리로 내려가는 방사통과 저림, 위약감 등이 나타납니다. 앉거나 허리를 숙이면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귀하의 증상은 이와 약간 다른 양상을 보이네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MRI 등 영상검사와 신경학적 검진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전문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 원칙은 자세 교정, 유연성 운동, 코어 강화 운동 등 보존적 치료입니다. 허리 신전 운동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점진적으로 운동 범위를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 물리치료사의 지도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게는 등받이가 있는 의자가 좋습니다. 90도보다는 약간 뒤로 기댄 자세(100-110도)가 허리에 부담을 덜 줍니다. 장시간 앉아있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고, 틈틈이 일어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도움됩니다.

      4. 걷기는 척추관 협착증에 가장 좋은 운동입니다. 조깅은 척추에 반복적인 충격을 주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걷기 외에 수영, 자전거 타기(앞으로 숙이지 않는 자세) 등 저강도 유산소 운동이 도움됩니다.

      증상의 원인을 명확히 진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이 의심된다면 척추 전문의와 상의하시어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바른 자세 유지로 증상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