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원자재가 없는데도 잘살게 된 이유?
안녕하세요.
우리나라가 특히 매장된 석유, 원자재 등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과거 그렇게 찢어지게 가난한 나라에서 그래도 지금
어느정도 먹고살만한 나라가 될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국가 정책과 더불어서
뛰어난 단합력으로 제조업을 양성하여 현재 이러한 경제대국이
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원유 등 원자재를 수입하여 이를 그대로 소비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재가공하여 석유화학제품등의 수출을 많이 하는 국가로 성장하였습니다. 또한 it 반도체, 자동차 등 세계의 선두분야를 개척하여 더 많은 수출을 진행, 선진국 대열에 합류한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한국은 자원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잘 살게 되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자원을 수입하여 가공하고 수출하는 산업 위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새마을운동 등을 통한 범국민 차원에서의 동기부여도 있었고 88올림픽을 개최하며 국가 신뢰도와 국가 브랜드가 상승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한국은 관광,자원이 없는 나라여서 오로지 머리써서 제품을 만들고 수출하는 제조업이 발달한 나라입니다.
제조업 중에서 처음엔 중공업이 발달하다 반도체산업이 크게 발전하면서 수출의 약 20프로를 차지할만큼 컸고 사실상 반도체가 한국을먹여살린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이제는 미국이 반도체를 지원식으로 포장하면서 통제하도 온갖 정보를 빼갈려고하니 한국도 잘 대처를 못 하면
경제가 엉망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석유, 가스, 광물과 같은 중요한 천연자원이 없는 자원빈국이었습니다. 그러나 고도로 교육받은 인력과 동아시아로의 관문으로서의 전략적 위치에 의존하여 간신히 살아남고 번성했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는 수출 및 투자 진흥 정책을 추진하여 경제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한국은 또한 기술과 혁신에 막대한 투자를 하여 반도체, 전자와 같은 첨단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