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나라가 원자재가 없는데도 잘살게 된 이유?

안녕하세요.

우리나라가 특히 매장된 석유, 원자재 등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과거 그렇게 찢어지게 가난한 나라에서 그래도 지금

어느정도 먹고살만한 나라가 될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
      전중진 경제전문가
      한울발달상담센터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국가 정책과 더불어서

      뛰어난 단합력으로 제조업을 양성하여 현재 이러한 경제대국이

      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원유 등 원자재를 수입하여 이를 그대로 소비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재가공하여 석유화학제품등의 수출을 많이 하는 국가로 성장하였습니다. 또한 it 반도체, 자동차 등 세계의 선두분야를 개척하여 더 많은 수출을 진행, 선진국 대열에 합류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한국은 자원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잘 살게 되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자원을 수입하여 가공하고 수출하는 산업 위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새마을운동 등을 통한 범국민 차원에서의 동기부여도 있었고 88올림픽을 개최하며 국가 신뢰도와 국가 브랜드가 상승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한국은 관광,자원이 없는 나라여서 오로지 머리써서 제품을 만들고 수출하는 제조업이 발달한 나라입니다.

      제조업 중에서 처음엔 중공업이 발달하다 반도체산업이 크게 발전하면서 수출의 약 20프로를 차지할만큼 컸고 사실상 반도체가 한국을먹여살린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이제는 미국이 반도체를 지원식으로 포장하면서 통제하도 온갖 정보를 빼갈려고하니 한국도 잘 대처를 못 하면

      경제가 엉망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석유, 가스, 광물과 같은 중요한 천연자원이 없는 자원빈국이었습니다. 그러나 고도로 교육받은 인력과 동아시아로의 관문으로서의 전략적 위치에 의존하여 간신히 살아남고 번성했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는 수출 및 투자 진흥 정책을 추진하여 경제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한국은 또한 기술과 혁신에 막대한 투자를 하여 반도체, 전자와 같은 첨단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