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희토류, 석유 같은게 안나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희토류, 석유 등 양질의 자원이 없는 이유는 뭔가요?
국토 면적이 크지 않은 나라들도 충분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뉴스를 통해서 접했습니다.
단군할아버지가 스타트 포인트를 잘못 잡은거 확실하죠?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희토류와 석유 같은 천연자원이 적게 발견되는 이유는 지질적인, 지리적인, 및 지정자원의 분포에 기인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한국은 이러한 자원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아닙니다.
희토류는 희귀하고 가치 있는 천연자원으로, 대부분 중국 등 몇몇 국가에서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희토류의 상당한 양의 생산량을 갖고 있지 않아 수입에 의존해야 합니다.
석유 역시 지질 조건과 지질 구조에 따라 분포가 달라지며, 한국은 석유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합니다. 한국의 지질 구조는 석유 형성에 적합하지 않거나 충분한 석유 지원체를 갖추고 있지 않아 석유 생산량이 제한적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석유와 희토류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주로 지질학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석유는 수백만 년 동안 해양 생물이 쌓이고 변화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특정한 지질 환경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석유가 형성되는 지질환경은 대륙붕, 연안 퇴적지, 바다 등과 같은 특정한 지질 형태와 관련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지역이 석유 형성 조건과는 거리가 있고, 지질 환경도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석유의 출현량이 적습니다.
희토류 역시 비슷한데, 2020년에 발표된 광업 광산물 통계연보에 따르면 국내 희토류 매장량은 약 2597만t으로 금액으로 따지면 8억원어치에 불과합니다. 이 역이 우리나라의 지질학적 요인상 형성이 어려운 환경인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희토류, 석유 등 양질의 자원이 없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우리나라의 지질 구조입니다. 우리나라는 지질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지역으로, 화산 활동이나 지각 변동이 활발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희토류나 석유와 같은 유전 자원이 형성되기 위한 조건이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지구의 지각 구조입니다. 희토류는 주로 지각의 맨틀 상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각의 두께가 얇아서 맨틀 상부까지 뚫고 들어가는 탐사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지각의 운동이 활발하지 않아서 희토류가 지각의 표면으로 올라오는 일이 드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