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매일성장하는3호
매일성장하는3호

물가가 잡힌다곤 하는데 금 배 , 금 사과는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물가상승폭이 최근들어 최저를 기록했다는 소릴 들었습니다.

하지만 마트나 슈퍼, 과일가게를 갔을때 다들 아시겠지만 배하나에 오천원 만원하는걸 볼 수 있는데요.

사과도 마찬가지구요..

제생각인데 물량이 없어서 더 금액이 오르는거 같아요..

아무래도 가을에 수확하는 과일들이다보니 지금까지 재고가 있기도 힘들거구...

전문가님들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과나 배 등은 이상기후로 인하여 작황상황이 좋지 못하고 이에 따라서

    공급 등에 제한이 있어서 가격이 쉽사리 안잡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물가 상승폭이 최저라는 것은 어쨌든 상승은 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따라서 기존까지 계속 상승해온 물가가 이제 더이상 상승을 안하는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이제까지 올랐던 물가는 동일한 가격을 한동안 유지하게 될 것입니다.

    • 추가적으로 추석시즌이 다가오면 과일 가격은 더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과일과 같은 농수산품들은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갑자기 공장에서 만들어 낼 수도 없고 거의 1년 이상 지난 뒤에야 수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천재지변이나 여러가지 요소로 공급이나 수요가 달라지면 가격이 크게 변동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대로, 물가상승률이 최근 최저치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게 느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여러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결과로 보여집니다.

    먼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반영하는 지표이지만, 모든 품목의 가격과 가중치가 동일하게 계산되지는 않습니다. 특히, 농축산물이나 신선식품 등은 계절에 따른 작황 변화와 기상조건, 수요 변동 등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물가 통계에 있어서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문자님 말씀처럼 물량이 없어서 금액이 더 오르는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사과와 배 등 농작물은 작황이 어떠냐에 따라서 가격 변동폭이 커지는데요.

    최근 기후온난화 등의 문제로 우리나라도 더이상 작황이 좋은 햇수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각종 농작물 질병들도 늘어남에 따라서 해당 문제는 해를 거듭할수록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수요와 공급 관계에 따라 공급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결국 가격은 기온과 날씨 등 환경의 변동성에 따라서 들쭉날쭉 하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가 잡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비싼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물가 상승률이 내린다는 것은 물가가 내린다는 것이 아니라

    물가가 상승하는 속도가 줄어든다는 것으로 여전히 물가는 오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과일들은 수요도 수요지만 공급에서 문제가 될 수 있기에

    그런 금사과, 금배가 나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물가 상승률이 완화되었음에도 배와 사과 등의 과일 가격이 여전히 높은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째, 기상 이변으로 인해 사과와 배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했고, 해외 수요 증가로 인해 국내 공급량이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둘째, 연료비 상승과 노동력 부족으로 유통 비용이 증가하면서 과일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과일 운송과 유통 과정에서의 비용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셋째,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가처분소득 증가로 인해 과일 소비가 늘어나면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또한, 사과와 배는 장기간 보관이 어려워 재고 확보가 힘들고, 중간 유통 단계가 많아 유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과일 생산량 증대, 유통 구조 개선, 온라인 판매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과일 가격 안정화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폭이 낮아졌다고 해도 특정 과일이나 식품의 가격은 여전히 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수확량이 적거나 날씨나 다른 이유로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트에서 과일 가격이 비싸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