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임진왜란 후 종전이 빠르게 진행되지 않았던 이유가 뭔가요?
임진왜란에서 마지막 전투나 다름없던 진주성 전투가 끝났을때 강화협상이 이루어졌잖아요. 조선, 명나라, 일본은 모두 전쟁이 끝나는 한뜻을 가지고 있었는데 왜 종전까지는 오래걸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어난 동아시아 국제 전쟁입니다. 그런데, 초기 일본이 의도한 대로 수륙병진 작전이 수행되지 못하고, 명나라가 개입하고, 조선의 수군과 의병의 활약 및 재정비로 전쟁은 정체되면서 왜군은 1593년 4월 한양에서 철수하여 남해안가의 부산, 울산, 거제 등에 주둔하였습다.
그리고 이후부터 거의 대부분 강화협상의 시간으로 흘러갔습니다. 당시 일본이 요구한 화의 협상의 내용은 1)명의 황녀를 일본의 후비로 삼을 것, 2) 감합인을 복구할 것 3) 조선의 4도를 할양할 것 4) 조선 왕자 및 대신 12명을 인질로 삼을 것입니다. 조선도 명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이었습니다.
강화협상이 결렬되자 1597년 다시 조선을 침략했는데,이를 정유재란이라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쟁을 끝내는거 말고는 한마음인게 하나도 없었으니까요
일본지휘관은 그냥 패전도 아니고 역전패를 당했으니
뭐라도 이득을 보지않으면 처형당할 각이고
명나라 지원군도 황제가 억지로 밀어붙여서 온거라서 뭐 하나 이득보지 않으면 엄청난 적자고
조선이야.. 자기나라가 전쟁터 였으니 당연히 배상을 받고 싶어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