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력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력'이라고 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뭔가요?
그리고 은력을 사용한 국가는 무슨 나라이며
은력을 사용하는 풍습은 어떠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한(漢) 이전에 사용되었다는 6종류의 역법인 고육력(古六曆) 가운데 하나이다.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으로서 한(漢) 초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자세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한(漢) 이전에 ‘고육력(古六曆)’이라 하여 황제력(皇帝曆), 전욱력(顓頊曆), 하력(夏曆), 은력(殷曆), 주력(周曆), 노력(魯曆) 등 여섯 가지의 역법(曆法)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 고육력(古六曆)은 모두 옛 제왕이나 왕조의 이름을 붙이고 있지만, 주(周)와 진(秦) 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은력(殷曆)도 고육력(古六曆) 가운데 하나로서 그 도읍지의 이름을 따서 은(殷)이라고도 불리는 상(商) 왕조의 명칭에서 비롯되었지만, 실제 상(商)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전국시대(戰國時代) 이후에 만들어져 한(漢) 초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육력(古六曆)은 모두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이며 365일과 1/4일을 1회귀년으로 정하고 있어 ‘사분력(四分曆)’이라고도 한다. 각기 한 해의 첫 달인 세수(歲首) 등을 달리 두고 있는데, 은력(殷曆)은 동지(冬至)가 있는 다음 달인 건축월(建丑月)을 세수(歲首)로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진(秦) 이후 한(漢) 초기까지 사용되었던 전욱력(顓頊曆)은 역서(曆書)의 발굴로 그 내용이 일부 밝혀지고 있지만, 은력(殷曆)을 포함한 나머지 고육력(古六曆)의 자세한 내용은 아직 정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편 상(商)의 유적지에서 발견된 갑골문(胛骨文)에는 당대의 문자와 의례만이 아니라 천문과 역법(曆法)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해석·복원하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갑골문은 상(商) 시대에 이미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에 기초해 간지표(干支表)를 완성하여 날짜를 산정하는 일력(日曆)으로 사용하고 있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상(商)의 사람들은 태양이 10개가 있어 그것이 교체되어 10일마다 한 번씩 돈다고 생각했다. 10개의 태양에는 각각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이름을 붙였으며, 하늘에 이들이 번갈아 떠오르는 주기인 10일을 순(旬)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십이지(十二支)를 사용하여 상(商) 시대에는 이미 하루, 10일, 한 달, 일 년을 단위로 날짜를 구분해 산정하는 역법(曆法)의 체계가 어느 정도 완성되어 사용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둥쭤빈(董作賓, 1895~1963)은 갑골문(胛骨文) 연구에 기초하여 《은력보(殷曆譜)》 상·하편을 1945년에 간행하여 상(商)의 역법(曆法)을 복원하려 했다. 그는 상(商) 시대에 이미 정연한 역법(曆法)을 사용하고 있다고 간주하여 사분력(四分曆)으로 갑골문의 역일(曆日)을 정리하였다. 둥쭤빈의 연구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비판과 보완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은력 [殷曆]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한나라 초기에 있던 음양력 역법의 하나. 옛 제왕이나 왕조의 이름을 붙인 6종류로 되어 있으며, 1년을 365일 6시간으로 한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고대의 상나라에서 사용됐다는 역법 중 하나인데 태음태양력이며 365일과 1/4일을 1회귀년으로 정하고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91일을 1회귀년으로 간주하기에 그래서 사분력(四分曆)이라고 부릅니다. 상나라의 도읍지인 은(殷)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되었지만 실재로는 상나라에서 사용하지 않고 전국시대 전국시대 이후에 만들어진것으로 추측되어 한나라 초기까지 사용한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은력(殷曆)은 중국 한나라 때의 음양력 역법인데요.
한국 고대사의 경우라면 "부여"였다고 <삼국지 동이전>과 <후한서>에 나온다고 합니다.
http://m.okpedia.kr/contents.aspx?lc=krcn&ct=A&ctid=A00008&contid=GC05302836
너그러운벌222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은력'은 중국의 조선시대에 사용된 통화 체계입니다. 은력은 은을 주 재화로 사용하여 화폐로 쓰였으며, 조선시대의 중요한 통화 단위 중 하나였습니다.
조선시대의 은력은 "더라(大刀)"라고 불리는 은화(銀貨)를 기준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은력은 대부분 정부에서 발행하였으며, 중앙 은행과 지방 은행에서 유통되었습니다. 은력은 조선시대의 경제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상업 거래, 세금 납부, 임금 지급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은력을 사용한 국가는 대한민국과 같은 조선시대의 한반도 지역이었습니다. 은력은 조선시대의 대부분을 통틀어 사용되었으며, 1633년부터 1892년까지 약 260년 동안 사용되었습니다.
은력은 은화를 기반으로 한 화폐 체계였으며, 은화 자체의 가치에 따라 교환되었습니다. 은화는 중앙 은행에서 교환 가능하며, 또한 은화에는 중앙 은행에서 발행한 유통 은화와 개인이 발행한 사립 은화가 존재하기도 했습니다. 은력의 사용은 조선시대 사회의 경제 활동과 풍속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고대의 상나라에서 사용됐다는 역법 중 하나. 태음태양력이며 365일과 1/4일을 1회귀년으로 정하고 있는것이 특징이다. 사분력(四分曆)이라고 부른다. 상나라의 도읍지인 은(殷)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되었지만 실재로는 상나라에서 사용하지 않고 전국시대 이후에 만들어진것으로 추측되어 한나라 초기까지 사용한것으로 보인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