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품을 해외 시장으로 수출할 때, 해당 제품의 정확한 관세율을 어디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관세율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물품의 관세율은 HS Code라는 숫자에 따라 상이합니다. HS Code가 분류되지 않은 경우 정확한 관세율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관세는 우리나라 수입 기준으로 수입물품의 CIF 가격 x 관세율로 계산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국가별 관세율에 대해 살펴보고 싶으신 경우 관세법령정보포털 링크드리니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세계HS > HS정보 > 관세율표 > 국가선택 > HS Code 검색)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품의 관세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의 관세청(또는 무역부)의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관세율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관세청 웹사이트에서는 관세율뿐만 아니라 관세 부과 방법이나 관세 코드 등의 상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세율은 주로 제품의 HS 코드(국제품목명칭)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HS 코드는 각 제품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하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코드 체계입니다. 따라서 제품의 HS 코드를 알고 있다면 해당 코드를 관세청 웹사이트에서 검색하여 관세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가와의 거래인 경우에는 협정관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FTA 협정문을 참고하여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면 협정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제품의 관세율을 확인하는 가장 신속한 방법은 관세 법령 정보 포털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 포털에 접속한 후 세번 상품 검색 창에서 키워드를 입력하면 원하는 제품의 관세율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관세율은 제품의 종류, 원산지, 수입국 등에 따라 달라지며, 정확한 관세율을 확인하려면 해당 제품을 선택하여 관세율표를 참고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으로 직구할 때는 해당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을 확인하여 관세 계산을 해야 합니다. 관세 계산법은 과세가격에 관세율을 곱하고, 그 결과에 부가세를 추가하여 총 부과 세금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제품을 해외 시장으로 수출하거나 해외에서 직구할 때는 관세율을 사전에 확인하고 관련 규정에 따라 정확히 신고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관세율 확인을 위해서는 HS CODE 검색이 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다만, 물품에 대한 HS CODE 정보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면, 관련 규정들을 찾으면서 분류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정보가 부족하신 경우 관세사 등에게 통관 대행을 의뢰하면서 HS CODE분석업무를 함께 의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수출입 신고를 위해서는 관세가 부과되는 특히 수입국의 품목번호(HS CODE)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관세율표에는 품목번호에 규정된 관세율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수출물품에 대해서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품목번호를 조회하면 다음의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조회가 가능하며, 주로 우리나라와 FTA가 체결된 국가 위주로 되어 있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세청 관세법령정보포털
무역협회 트레이드내비
커스트피아 (민간업체)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 유니패스에서 HS code 별로 관세율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를 확인하기 전에 대략적인 HS code를 확인하여야되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먼저 물품의 수입관세율을 알기 위해서는 수입국에서 적용되는 해당물품의 HS code를 확인한 후 관세법령정보포털(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의 관세율표 섹션에서 수입국가기준으로 관세율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