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일현상은 무엇이며 어떻게 그런 현상이 발생하는 건가요?
인터넷에 환일현상이라는 걸 우연히 보았는데요. 태양이 3개로 보이는 현상이라고 하던데
어떻게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환일 현상은
태양 주변에 여러 개의
태양이 보이는 기상 현상입니다.
이는 육각형 모양의 얼음 결정으로
구성된 권운에 햇빛이 굴절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햇빛의 굴절 햇빛은 권운에 있는
육각형 얼음 결정을
통과하면서 22°의 각도로 굴절됩니다.
빛의 분산 굴절된 빛은
다시 여러 색깔로 분산됩니다.
가짜 태양 굴절되고 분산된 빛이
눈에 들어오면 태양 주변에 여러 개의
태양이 보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환일의 위치 환일은 일반적으로
태양의 양쪽에 나타납니다.
환일의 밝기 환일은 실제 태양보다 덜 밝습니다.
환일의 색깔 환일은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등
여러 색깔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권운의 존재 환일 현상을 보려면
하늘에 권운이 있어야 합니다.
맑은 하늘 맑은 하늘에서
환일 현상을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적절한 태양의 위치 태양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환일 현상을
보기 어렵습니다.
환월 달 주변에 여러 개의
달이 보이는 현상입니다.
일주 태양 주변에 빛의 고리가
보이는 현상입니다.
월주 달 주변에 빛의 고리가
보이는 현상입니다.
환일 현상은 육각형
모양의 얼음 결정에
의해 햇빛이 굴절되면서
발생하는 기상 현상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환일현상은 태양이나 달이 지평선 아래에 가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대기 중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 등이 태양 또는 달의 빛을 굴절시켜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대기 중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환일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굴절의 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굴절의 법칙은 빛이 다른 매질로 들어갈 때 속도와 방향이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기 중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빛을 굴절시키는데 이 때 빛의 속도와 방향이 변하면서 태양이나 달의 위치가 실제보다 높게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대기 중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산란은 빛이 물체를 만나면 흩어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 때 빛이 다양한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태양이나 달의 빛이 더 넓은 범위로 퍼지게 됩니다. 그 결과 태양이나 달이 더 크게 보이는 것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따라서 환일현상은 대기 중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굴절과 산란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며 이는 대기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환일현상은 태양의 양쪽에 고리나 무리 모양의 빛나는 점이 만들어지는 대기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무리해라고도 불립니다. 항상 명확하거나 밝은 모습은 아니며, 태양의 고도가 낮을 때 가장 잘 보이고 뚜렷합니다.
환일은 높고 온도가 낮은 권운에 육각판상의 빙정이나 낮은 고도에서 날리는 빙정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 빙정들은 프리즘 역할을 하여 결정체를 통과하는 빛을 22°씩 굴절시킵니다. 만약 빙정들이 무질서하게 펼쳐져 있다면, 태양 주위로 고리모양의 무리가 생겨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빙정들은 대기에 가라앉게 되어 수직으로 나란히 있게 되므로 태양빛은 수평으로 반사되어 환일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태양의 고도가 높아질수록 빙정을 지나는 햇빛은 점점 수평선으로부터 굴절됩니다. 굴절각은 증가하고 환일 현상은 태양으로부터 멀어져 가지만 항상 태양과 같은 고도를 유지합니다. 환일 현상은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부분은 빨간색을 띠며 멀어질수록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색으로 변해갑니다. 하지만 그 색깔은 뚜렷하거나 강하지 않고 상당히 겹쳐있으며 매우 약합니다. 결국 이 색깔들이 백색으로 합쳐져 환일환(무리해고리)이 생기기도 합니다.
환일현상은 자연의 아름다움 중 하나로, 태양의 빛이 대기와 얼음 결정과 상호작용하는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양쪽에 고리나 무리 모양의 빛나는 점이 만들어지는 대기 현상인데요 기본적으로 하늘에서 구름 중에 새털구름, 면사포 구름처럼 얇은 구름이 있죠. 그런 구름이 5km 이상 고층에서 뜨는데 그런 구름이 온도가 낮아지면 얼음, 빙정이 생겨요. 육각형 모양의 얼음 결정들이 생기는데 이런 얼음이 무게가 있으니까 수평 방향으로 모입니다. 거기에 햇빛이 들어가서 굴절되고 반사되면서 태양의 양옆으로 반사돼서 그 빛이 태양 양옆으로 모여서 가짜 태양을 만드는 거거든요. 그래서 기본적으로 온도가 낮고 아주 높은 대기의 새털구름 같은 얇은 구름층에 이런 얼음 결정들이 생기면 그때 환일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는 건데 항상 생기는 건 아니지만, 태양 양쪽으로 22도 정도, 하늘이 180도니까, 22도 정도 떨어진 곳에 2개의 가짜 태양이 나란히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환일 현상은 얇은 구름 속에 있는 육각형 얼음 결정에 햇빛이 굴절되어 태양 옆에 밝은 점이 만들어지는 현상입니다. 이 점은 마치 또 다른 태양처럼 보이기 때문에 환일이라고 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