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우리나라 지명 중에서 고유어로 되어 있는 지명에는 무엇이 있나요?

우리나라 지명은 '서울'을 제외하면 거의 한자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은데요. 우리우리나라 지명 중에서 고유어로 되어 있는 지명에는 무엇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의 주요 대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고유어로 된 도시는 서울 하나밖에 없습니다. 서울은 '서라벌'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유어 지명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새로 마을이 생겼다’는 의미의 ‘새터’이며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비롯해 전국에 273개가 있다고 합니다. 그 뒤를 이어서 ‘절골 (142개)’, ‘새말 (110개)’, ‘안골 (96개)’, ‘큰골 (68개)’, ‘뒷골 (66개)’ 등의 우리말 지명이 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장긴 고유어 지명:

    옥낭각씨베짜는바위

    ●가장 많이 쓰이는 고유어 지명:

    새터

    이외에도 불등,모래내,신촌,남산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분석 결과,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고유어 지명은 11,771개, 한자어는 45,961개, 혼합어 지명은 17,657개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지명은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의 ‘옥낭각씨베짜는바위’였다. 고유어 지명 중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새로 마을이 생겼다”는 의미의 ‘새터’로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비롯해 전국에 273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 뒤를 이어서 ‘절골(142개)’, ‘새말(110개)’, ‘안골(96개)’, ‘큰골(68개)’, ‘뒷골(66개)’ 등이 많이 쓰이는 고유어 지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