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강력한등에165
강력한등에165

요새 대세인 defi와 staking의 차이?

요즘 대세인 defi와 staking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유동성 공급 토큰풀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도 함께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여하고 싶은데 잘 모르다보니 참여하기가 쉽지 않네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다라닝
    다라닝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큰 맥락에서 보면 암호화폐를 예치해서 보상을 받는 구조입니다만 디파이의 경우 예치한 코인과 다른 코인을 보상받고 스테이킹은 스테이킹한 코인을 보상으로 받습니다.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최근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니 가급적 스테이킹을 권해드립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스테이킹은 단순히 암호화폐를 일정기간 맡기고 이자를 받는 적금 방식입니다.

    이와는 달리 최근에 이슈가 되는 디파이는 단순한 스테이킹(적금방식)보다는 예금, 결제, 보험, 투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금융시스템을 기존이 전통금융에서의 정부나 은행에 의한 관리감독없이 즉 탈중앙화하여 이루어지는 금융 생태계를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디파이 분야도 담보대출분야, 파생상품 분야 및 이러한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오라클 분야 등 다양하게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는 이제 시작되는 분야로 대표적으로는 체인링크, 메이커 다오, 카바, 컴파운드, 밴드, 카이버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체인링크, 카이버, 카바, 컴파운드는 업비트 및 빗썸에 있습니다.

    디파이 금융 시스템은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은행, 신용카드도 필요없고 여타 감독기관도 없이 금융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최근이 이자농사라고 불리우는 디파이이며, 자산 토큰화 방식, 스테이블 코인 발행 및 탈중앙화 거래소가 이에 해당됩니다.

    최근 암호화폐에서 디파이가 이슈가 되는 이유는 올해 4월까지 11억달러에 불과하는 디파이 총액이 8월 현재 120억달러로 단기간 10배 이상 성장했고 이러한 추세라면 2023년 1조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디파이와 스테이킹에 차이에 대한 질문이네요

    우선 디파이의 개념안에 스테이킹이 포함된다고 보셔야 됩니다.

    디파이는 말그대로 탈중앙화적인 금융시스템 전체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다만 pos에서 출발한 스테이킹 개념은 애초에 블록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기여하는 형태로써 출발한 것입니다.

    그렇게 기여함으로써 코인을 보상받는 형태로 가는 것이었죠

    디파이는 현재 스테이킹 개념 이외에 대출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저는 디파이라는 용어자체를 인정하진 않습니다. 너무 거창한 단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