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정말시끄러운올빼미
정말시끄러운올빼미

슬릿에서 회절된 빛은 저희의 눈으로 어떻게 보이나요?(그림 첨부)

슬릿을 통과하는 빛을 정면에서 보는 것이 아닌, 비스듬히, 그러니까, 슬릿에서 회절된 빛이, 퍼져나가는 영역에서 빛을 본다면

저희의 눈으로는 결국 슬릿의 틈의 모서리가 보이나요? 아니면 마치 정면에서 슬릿을 보듯이 슬릿의 너머가 보이나요?

어떤 식으로 보일까요?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같아,그림으로 말씀드려 보자면, (슬릿을 위에서 본 그림입니다)

사람(흰색)이 회절된 빛(노랑)을 보았을때 빨간 공 뒤의 슬릿의 모서리가 보이느냐 아니면 파란 공이 보이냐는 질문이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빛이 슬릿을 통과할 때 비스듬히 관찰하는 경우 슬릿의 틈의 모서리와 회절된 빛의 간섭 무늬를 함께 보게 됩니다. 슬릿의 너머가 직접 보이는 것이 아니라 회절된 빛이 퍼져나가는 영역에서 밝고 어두운 띠무늬가 나타나며 이와 함께 슬릿의 모서리도 시야에 들어옵니다. 따라서 정면에서 슬릿을 볼 때와는 달리 슬릿의 틈 너머가 깨끗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회절 현상으로 인해 빛이 퍼져나가면서 간섭 무늬와 슬릿의 경계가 함께 보이는 형태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슬릿에서 회절된 빛을 비스듬히 볼 때, 눈에는 슬릿의 틈 너머가 보입니다. 회절로 인해 빛이 틈을 지나 퍼져나가며, 슬릿의 모서리에서 구부러져 새로운 점광원처럼 퍼지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빛의 강도와 패턴에 따라 모서리가 아닌 슬릿 너머의 대상이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빛의 이중슬릿 실험을 40년만에 이스라엘 광학 연구진이 진행을 했었는데 결론은 슈뢰딩거의 고양이처럼 광자 단위의 결과 값은 관찰자의 개입 여부가 결과값에 간섭이 된다 입니다. 보통 우리가 쓰는 시그널은 1 또는 0인데 전자 광자 단위에서는 결과값이 1 또는 0이 아닌 1일수도 0일수도 있지만 확인되기 전까지는 고정값이 아니다 입니다. 우리가 눈으로 확인하려면 정보전달의 가장 작은 단위는 빛이고 빛의 속도인데 같은 입자 크기로 관찰하는 행위가 파장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대신 해당 값이 고정이 되면 각 입자의 거리에 관계없이 값이 고정이 된다고 합니다.

    하여 위 질문처럼 정확히 저 공이 보인다 라고는 할 수 없고 볼 수도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관찰 시점에서는 값이 고정된다 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슬릿을 통과한 빛을 비스듬히 볼때, 우리 눈에는 슬릿의 틈 너머가 보이게 됩니다.

    회절은 빛이 좁은 틈을 통과할때 발생하며 , 빛이 틈을 지나면서 퍼져나가는 특성을 보입니다.

    이는 빞은 슬릿의 모서리에서 구부러져 나가게 되고 슬릿을 통과한 후에는 새로운 점광원에서

    퍼져 나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마치 정면에서 슬핏을 보는 것과 유사할수 있지만 , 빛의 강도 와 패턴등으로

    회절현상에 의해 영향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