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1

안경은 어떤 원리로 먼곳을 보게 해주나요?

안녕하세요

안경은 어떤 원리가 있길래 먼곳을 잘 보이게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안경 렌즈의 원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5.21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경은 굴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시력을 보조하는 기구입니다.

    눈은 빛을 받아 망막에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경로는 각기 다릅니다. 눈의 굴절력이 강한 사람은 빛이 눈에서 집중되어 망막 앞에서 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굴절력이 약한 사람은 빛이 눈에서 집중되는 곳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망막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는 눈의 렌즈가 빛을 제대로 집중시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안경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의 굴절력을 이용합니다. 렌즈는 빛을 받아 경로를 바꾸어 망막에 이미지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렌즈는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시력 문제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멀리 보는 안경은 오목렌즈를 이용하는데, 빛이 눈으로 들어와 상이 망막 앞에 맺히는 것을 망막에 잘 맺힐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두 개의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경로를 바꾸는데, 이를 굴절이라고 합니다. 안경 렌즈는 하나의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빛을 통과시키는데, 이 때 빛의 속도와 방향이 변하게 됩니다. 안경의 렌즈는 두 개의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곡면은 각기 다른 곡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려면 안경의 렌즈가 빛을 수직으로 수렴하도록 굴절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안경의 렌즈는 얇은 가운데 부분이 두꺼운 가장자리에 비해 더 작은 굴절력을 가지도록 디자인됩니다. 이러한 굴절력은 빛을 수직으로 수렴시켜서 먼 거리의 물체를 보다 뚜렷하게 만들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