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2.07

삼국유사는 정사로 인정받지 못하는 책인가요?

삼국시대 역사를 기록해 놓은 책으로 대표적으로 고려시대에 지어진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있는데요.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는 정사로 인정받는 것 같은데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는 정사로 인정받지 못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서에 '정사'란 왕명에 의해 사관이 편찬한 역사서로 공식적인 역사서입니다. 반면에 야사는 개인이나 단체가 편찬하는 역사서로 채제와 문사가 부정연하고 비공식적입니다. 그런데 <삼국유사>는 고려 시대 일연이 편찬한 삼국시대 역사서로 삼국사기에 누락된 사실과 설화, 신화, 불교, 향가 등을 수록했습니다. 따라서 삼국유사는 왕명에 의해 편찬된 것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서술했기 때문에 야사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유사에는 불교 관련 이야기, 민간 설화, 전설 등 다양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허구 혼합으로 이루어져있어

    객관적인 사실 확인이 어렵기때문에 정사로 인정받지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유사>는 고려 후기 승려인 일연이 편찬한 역사서로, 고조선부터 후삼국까지의 역사와 민속을 다루고 있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역사책 중 하나이며, 설화나 민담 등의 이야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정사가 아닌 야사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시대의 승려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시대의 역사서 입니다. 원판(原版)은 전하지 않으며 2003년에 조선 초기의 간행본과 중종 임신본이 각각 대한민국의 국보 제306호와 제306-2호로 지정되었는데 왕명에 의해서 사관에 의해서 쓰여 진 것이 아니기에 정사로 여겨지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유사는 일연 스님이 서술한 역사서입니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기를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유사성이 있으나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 스님 스스로가 삼국유사를 정사로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 삼국유사를 야사로 구분짓는 중요한 점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서술형식 상으로도 삼국사기는 동양의 정사들의 서술형식인 기전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개인의 서술인 삼국유사는 편목 형식으로 으로 내용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삼국유사에 삼국사기에 기록되지 않은 설화와 신라향가 등이 수록되어 있는 것도 완벽한 정사로 인정받지는 못하는 요소가 됩니다. 그리고 삼국사기의 관점에 후대 연구자들이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지만 당대에는 국가적 사업으로 삼국사기를 역사서로 기록한 것애 반해 삼국유사는 개인의 저작물로 인정되고 있어 정사로 확정되기는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