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려시대 과거제도에서 시험과목들은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조선의 경우 유교국가니 당연히 유교에 관한 것들이
과거시험제도에서 주가 되지 않았을까? 예측이 가능한데 고려시대의 경우는 어떤 것들을 기준으로
관리임용시험에서 평가했었나요?
고려시대 과거제도에서 측정하는 내용, 방식이 어떠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과거제도의 제술과는
처음에는 시,부,송,시무책이 주요시험과목 이었는데, 시험일 마다 선택되는 것이 달랐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과거는 크게 문관을 선발하는 제술과 (製述科)⋅명경과 (明經科)와 기술관 등용 시험인 잡과 (雜科)로 구분해서 시행했습니다. 광종이 과거제를 시행한 가장 큰 목적은 왕권 강화입니다. 제술과는 문학적 재능과 정책(=글짓기, 현대의 논술)으로 인재를 뽑는 시험이었고, 명경과는 유교 경전에 대한 지식으로 인재를 뽑는 시험이었습니다. 제술과는 정책과 관련된 시무책보다는 문학적 재능을 더 중시했고 암기보다는 지식을 이용한 창작을 중요시했기에, 제술과에서 뽑는 인원이 명경과보다 훨씬 많았고 대우도 제술과가 명경과보다 더 좋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