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투쟁을 처음 시작한 시기와 그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인간은 공기없이 3분, 물없이 3일, 음식없이 3주 밖에 살지 못한다고 하는 데 단식투쟁을 처음 시작한 시기와 그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식투쟁은 주로 시전자는 왕이나 성직자 등으로 단식으로 건강을 해치거나 사망에 이르는게 사회적 영향력이 컸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고대 아일랜드에는 다른 사람과의 분쟁이 있을 때 억울함을 알리기 위해 그 사람 집 앞에서 단식하는 풍습이 있었고, 한국 역사에서도 종종 왕의 폐위를 반대해 식음을 전폐했다 사망, 충격을 받아 식음을 전폐했다 사망하는 등의 기록이 있습니다.
현대적인 단식투쟁은 녹색혁명으로 인류가 만성 식량부족으로부터 탈피하고 인권과 평등이라는 권리가 확실하게 자리잡은 후 부터로 국가입장에서 국민이 한명이라도 아사하게 되면 곤란하게 된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세계 곳곳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식투쟁은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한 투쟁으로 사회적 약자나 종교적 정치적 소수자 자유가 구속된 사람들의 최후의 수단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진주교도소에 수감되었던 김대중 전대통령이 면회와 변호사 접견 제한에 항의해 6일간 단식했으며 1990년에는 내각제 반대와 지방자치실현을 위해 13일간 단식하여 1991년 지방자치시대를 열었습니다. 1983년 가택연금 중이던 김영삼 전대통령이 23일간의 단식투쟁을 하였고 문성현 전민주노동당대표가 26일간의 단식을 하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 아일랜드에는 다른 사람과의 분쟁이 있을 때 억울함을 알리기 위해 그 사람 집 앞에서 단식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한국 역사에도 종종 왕의 폐위에 반대해 식음을 전폐하다가 사망했다, 충격을 받아 식음을 전폐하다가 사망했다는 등의 기록이 많이 나옵니다. 또한 조선의 왕, 왕비, 대비들이 정치적 싸움의 방법으로 수라와 탕약을 거부하는 단식을 행한 기록이 종종 나옵니다.
우리나라 역사에는 식음을 전폐하는 사례가 있어 적합성이 떨어지지만, 현대에 행하는 물을 마시면서 유지하는 단식은 서구권에서 행하던 재소자들의 유일한 투쟁방식으로서 행해지던것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