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올라잇
올라잇

호수는 왜 빨리 얼어버리나요??

이틀전에 공원의 커다란 호수를 봤는데 다 얼어있더라고요 수도권이라 기온이 별로 낮지도 않았는데 얼었던데 왜 그렇게 잘 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물의 열전도율: 물은 열을 잘 전달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면서 주변 열을 빠르게 빼앗아가기 쉽습니다. 따라서, 주변 온도가 충분히 낮으면 호수의 열을 빨리 빼앗아가며 얼어버리게 됩니다.

      2. 물의 밀도: 물은 4°C에서 최고 밀도를 가지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밀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물이 얼어갈 때 상대적으로 가벼워지기 때문에 얼음이 표면으로 떠오르게 되는데, 이는 얼음이 더욱 쉽게 형성되어 호수가 빨리 얼어지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3. 바람의 영향: 바람은 호수의 물을 저온으로 노출시키고, 물의 표면을 혼란스럽게 만들어 얼음의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바람이 강하면 호수의 물이 빠르게 냉각되어 얼음 형성이 가속화됩니다.

      4. 지리적 요소: 호수의 깊이와 면적, 그리고 지리적 위치도 얼어붙는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깊고 작은 호수는 더 빨리 얼어붙을 수 있으며, 저온 지역에 위치한 호수도 얼어붙는 속도가 빠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수가 얼어버리는 것은 기온이 낮아서라기보다는 물의 특성 때문입니다. 물은 다른 물질들과 달리 4도에서 가장 밀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얼어서 고체가 되면서 물 분자들이 서로 떨어져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게 얼음이 물 위에 뜨는 이유입니다.

      따라서 호수의 물이 얼어버리면 얼음이 물 위에 뜨면서 물과 대기 사이의 열 전달이 막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물의 온도가 빠르게 낮아지면서 얼음이 계속 두꺼워지게 되고 결국에는 전체 호수가 얼어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호수가 얼어버리는 속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람이 강하게 불면 물의 표면이 국지적으로 냉각되어 얼음이 빠르게 생길 수 있고 호수의 깊이나 물의 순환 등도 얼어가는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호수가 빨리 얼어버린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호수는 바다와 다르게 파도가 없고 잔잔하기 떄문에 물리적으로 얼음을 부수는 현상이 없고, 염분농도 또한 낮기때문에 어는점 역시 바다보다는 훨씬 높은편입니다.

      또한 평균적으로 영상의 기온일 뿐, 부분적으로는 얼기 시작하면서 주변 물분자들도 달라붙어 함께 어는 작용이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