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는 왜 이렇게 내리지 않는거죠?
미국의 기준금리가 하반기 4분기나 되어서야 인하될 수 있다는 기사가 있던데요. 미국의 기준금리가 이렇게까지 오래 내리지 얂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미국의 경우 지난 4월 인플레이션율이 3.5%로 지속해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미 연준이 목표로 하는 2%대 이하와는 큰 차이가 벌어지고 있는 것을 의미해요. 게다가 미국경제는 다른 국가와 다르게 여전히 소비가 강하여 경기침체의 우려가 낮아서 금리인하에 대한 가능성이 점차 낮아지고 오히려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기 시작하고 있어요
미국과 같은 경우 현재 고용이 너무 튼튼하고 더불어서 물가가 2%대로 진입하지 못하는 등 이에 따라서 미 연준이 금리인하를 주저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금리를 내리는 것은 신중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경기가 안좋을 때 써먹을 수 있는 카드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미국의 경우 현재 고용상태가 좋다고 합니다. 월급도 좋고요.
게다가 금리를 내릴 경우 물가가 상승하는 부작용이 있는데, 현재 미국의 물가는 상승중입니다.
때문에 금리를 내리길 꺼려하는 것입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단순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급격히 올린 이유가 인플레이션때문인데 미국의 경기가 아직도 활황이고 인플레이션도 잡히고 있지 않아 기준금리를 오랜기간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기본적으로 기준금리는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해서 각 나라 중앙은행에서 결정하는데요 미국의 경우 경기도 좋고 물가는 하락하는게 멈춰서 물가가 확실하게 하락하는 경우가 아니면 사실 금리인하를 할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경제 분야 답변자 전경훈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미국은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그만큼 미국의 금융 정책과 특히 기준금리 변동은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기준금리의 변동은 투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비용이 증가하여 기업의 투자가 줄어들고, 반대로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투자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동은 글로벌 자본의 흐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이자율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은 자본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준금리의 변화는 해당 국가의 화폐 가치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해당 국가의 화폐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져 수출 기업에게는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준금리의 조정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소비가 줄어들어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기준금리가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것은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급격한 기준금리 변동은 금융 시장에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미국기준금리의 경우 결국 미국의 경제상황에 맞게 인하 결정이 이루어지는데 미국의 경우 현재 경제가 호황이고 실업률이 낮으며, 물가상승률 역시 3%대의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금리인하를 해야되는 경제상황 침체, 물가상승률 안정과 반대되는 상황으로 단기간에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는 지표를 보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2024년의 경우 미국이 금리인하를 진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2025년에도 미국의 경제상황을 보고 금리인하를 할지 말지 결정하는 것이지 2025년에는 무조건 금리인하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섣부른 예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 기준금리 예측을 잘하는 전문기관인 패드 워치의 예상을 보면 올해 12월에 첫 금리인하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점점 금리인하시기가 뒤로 미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금리인하시기가 뒤로 미뤄지는지를 보면 이유는 간단합니다
물가가 잡히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최근 1월부터 물가가 다시 반등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 달에도 몇 개씩 물가 관련 지표들이 나오는데 가장 최근에 나왔던 임금 지표에서도. 임금이 높은 상태로 나왔습니다물가가 잡히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최근 1월부터 물가가 다시 반등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 달에도 몇 개씩 물가 관련 지표들이 나오는데 가장 최근에 나왔던 임금 지표에서도. 임금이 높은 상태로 나왔습니다.
연준에서 금리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물가 인데 물가가 떨어지지 않으니까 금리인하를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질문하신 미국 금리가 내려가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이 기준 금리를 올린 것은 물가 상승에 대처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런데 현재 물가가 내려갈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기준 금리를 섭부르게 내릴 수 없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