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조선 후기 시행된 대동법이 상업발달을 촉진시켰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조선 후기에 시행된 대동법이 결과적으로

상업발달을 촉진시켰다는 평가가 있던데

대동법의 어떤 점들에 의해서

상업발달을 촉진시켰다 평가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동법이 전국적으로 실시된 뒤 세액도 12말로 통일하였다. 산간지방이나 불가피한 경우에는 쌀 대신 베·무명·돈[大同錢]으로 대납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대동법 실시 후에도 별공(別貢)과 진상(進上)은 그대로 존속하였다. 따라서 백성에게 이중 부담을 지우는 경우가 생겼으며, 호(戶)당 징수가 결(結)당 징수로 되었기 때문에 부호의 부담은 늘고 가난한 농민의 부담은 줄었으며, 국가는 전세수입의 부족을 메웠다.

      대동법 실시 뒤 등장한 공인(貢人)은 공납 청부업자인 어용상인으로서 산업자본가로 성장하여 수공업과 상업발달을 촉진시켰다. 또한 화폐의 유통을 촉진시키고, 운송활동의 증대를 가져와 교환경제체제로 전환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제의 변화로 상공인층이 사회적으로 성장하고 농민분화를 촉진시켜 종래의 신분질서가 와해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동법 [大同法]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동법 실시 뒤 공인은 공납 청부업자인 어용상인으로서 산업자본가로 성장해 수공업과 상업발달을 촉진시켰습니다.

      화폐의 유통을 촉진시키고, 운송활동의 증대를 가져와 교환경제체제로 전환되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동법을 실시함으로 국가의 수입이 증대되었고 공납을 호구 수가 아닌 토지를 기준으로 부과 하였기 때문에 농민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또한 전에는 물품을 직접 부담하던 것을 관허상인 공인이등장하여 대동미를 사용하여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업이 활발해지고 자본이 발달하는등 상업의 발달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대동법의 실시로 인한 상품과 화폐 경제의 발달은 궁극적으로 농민층의 분화를 촉진시켰고 나아가 종래의 신분 질서와 경제를 와해시키는 등 양반 사회를 무너뜨리는 작용을 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공납이 현물을 내는 대신 토지를 단위로 곡식을 낸다는 점에서 전세와 비슷해졌기 때문에 공납의 전세화라고도 하였습니다. 조선 후기의 사회 특성상 양반의 반대를 무릅쓰고 정책을 펼치기란 쉽지 않았기에 대동법은 조선 내내 동안 가장 개혁적인 법이라고 평가 받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