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에 축의금을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코로나19 때문에 결혼식도 약식으로 하는편이 많은데 결혼식하면 지인들이 축의금 전달하잖아요. 결혼식에 축의금을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다람쥐93입니다.
코로나로 결혼식의 규모가 점점 작아지고 있습니다.
축의금을 주는 이유는 축하한다는 잘 살라는 의미 아닐까요? ^^
오래된 하나의 문화 같습니다 ㅎㅎ
안녕하세요. 꾀꼬리입니다. 결혼하는 신혼부부에게 필요한것은 많이 있지만 결혼식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것이 상식이죠 그 비용을 대주는것은 아니지만 평생에 한번밖에 없는 결혼을 축하하며 주는 마음의 선물인거죠
안녕하세요. 시아서아입니다.
축의금은 말 그대로 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내는 돈을 뜻하는데, 여러의미가 있기도 하죠. 예를들면 결혼을 축하하는 의미, 결혼식에는 많은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작게나마 마음을 보태는 의미 등등 생각하시면 될 거 같네요 :)
예로부터 벼농사를 많이 지어온 우리나라는 상부상조 문화가 뿌리깊게 있어왔습니다. 상부상조란 예를들어 오늘은 철이네 모내기, 다음달은 순이네 모내기 이렇게 동네 사람들끼리 합심하여 어려운 일들을 함께 해결하는것을 말합니다.
이는 품이 많이 들어가는 경사(결혼 등 좋은일)와 조사 (장례 등 어려운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었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십시일반하여 도움을 주고 나중에 본인이 도움 필요시 도움을 받는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풍습이 현재까지 내려오며 예전에는 인력으로 도움을 거들었던것을 현재는 돈으로 도움을 준다고 이해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경조금:경사와 조사에 사용되는 금액
*축의금:경조금 중 축하의 의미로 도움을 주는 금액
새로운 가정을 꾸리고 새 삶을 시작하는 부부에게 경제적 도움을 십시일반 주기 위한 문화입니다.
우리나라나 일본은 주로 현금을 주고
국가에 따라 물건을 선물하기도 합니다.
독일같은 나라의 경우 먼저 결혼한 사람들이 자신들이 사용하던 가전제품을 새 부부에게 선물하고 자신들은 새롭게 장만하는 문화도 있습니다.
우리 부부의 행복의 원천을 너네들에게 선물한다... 라고 말하며 오래된 제품 처리를 하고 자신들은 신품을 사죠..허허허
결론 : 각 나라/문화마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결국 새부부 보고 잘살라고 주는것
.
안녕하세요. 웃으면복이와요입니다.
이 땅에서는 예전부터 '공동체'라는 개념이 강했습니다.
그래서 품앗이를 하고 모내기를 하고 계를 하며 누군가 큰 일을 감당할때 십시일반으로 돈이든 정성이든 모아 함께 더불어 살아가자는 움직임이 있었죠.결혼식 축의금, 장례식 부조금 등에는 축하나 위로의 의미뿐 아니라 품앗이나 계의 의미도 있는 겁니다. '공동체에서 내 몫을 하는 것' '상대방에게 유익이 되게 하는 것' 등이 포함된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