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전선이 뜨거워지는것은 전류가 흘러서 발생되는건가요??

전선이 뜨거워지는것은 전류가 흘러서 발생되는건가요?? 그럼 더 많이 뜨거워지면 결국 전류가 더 많이 흘러서 그럴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선이 뜨거워지는 것은 전류가 흐를떄 전자들이 흐르는 전선의 원자들과 부딪히면서 전압차에 의해서 이동하는 전자의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뜨거워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압차가 커서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가 더 많이 이동되니깐 더 많이 부딪히면서 열이 더 많이 발생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전선이 뜨겁게 느껴진다면 전선에 맞지 않는 부하기기를 사용하는것으로 생각듭니다. 전선의 굵기마다 허용가능한 전류 용량이 있습니다. 만약 그 전선에서 열이 느껴지신다면 전선보다 큰 부하의 기기를 사용하는것이고 이는 화재로 이어질수 있는 위험한 신호이기에 전선을 굵은것으로 교체하거나 부하기기를 교체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선이 뜨거워지는 것은 전류가 흐를 때 전선의 저항 때문에 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전류가 많아질수록 발생하는 열은 제곱에 비례해 급격히 늘어나므로 더 뜨거워집니다 그래서 허용 전류를 넘기면 전선 피복이 녹거나 화재 위험이 생겨 반드시 굵기에 맞는 전류만 흘려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선이 뜨거워지는 것은 전선 내부의 저항 때문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가 전선의 원자들과 충돌하여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어 전선이 뜨거워지게 됩니다.

    더 뜨거워진다고 전류가 더 많이 흐르는 것이 아니라 저항이 일정하거나 전류가 커질수록 열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전선이 얇거나 저항이 클수록 같은 전류일 때 더 많이 뜨거워 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선이 뜨거워 지는것은 전류가 저항체 즉 전선에 흘러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뜨거워지는 현상이 발생된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