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입이방정
입이방정23.09.14

인간은 언제부터 양치질을 하기 시작했나요?

인간의 치아도 동물처럼 태어나면서 양치를 하지 않으면 양치를 안해도 이거 썩지 않는다고 들은적이 있는데요

그러면 인류는 언제부터 양치를 했으며, 왜 하기 시작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4

    안녕하세요. 우아한참밀드리117입니다.

    음식을 먹은 후 구강을 청소하지 않으면 고생한다는 것을 윗세대로부터 배우면서 본능적으로 자연스럽게 아주 고대시절부터 시작했을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망고마더77입니다. 조사를 해보니 기원전 5000년경 이집트에서는 베이킹 소다와 재를 섞어 치약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기원전 2600년경 중국에서는 버드나무 가지를 씹어 만든 칫솔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네요 아무래도 이런 양치 행동이 없으면 이에 통증등을 느껴서 이에 대한 예방책으로 양치를 하기 시작 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


  • 안녕하세요. 산바다계곡하늘나무별입니다.


    1.서양

    고대 중동 지방에서는

    Siwak 혹은 Misswak이라 하는 Salvadora pesica 나무를 이용하여

    이빨을 닦았다는 기록이 있다.

    고대 이후에도 오랜기간 동안 천연 칫솔로 사용 된 섬유질 가지로서

    칫솔나무'라고도 불립니다.


    2. 동양

    동양에서의 고대 칫솔은 버드나무로 만든 기구를 활용했습니다.

    버드나무의 소독 성분이 있다는 것을 알고 사용한 것으로

    양치의 어원도 버드나무 가지의 양지에서 변형되어 양치가 된 것입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초기 칫솔의 형태인 나못가지나 뿌리를 이용한

    섬유형태의 도구를 가장 먼저 사용했다고 합니다.



    치약. 칫솔의개발보급



    1500년대에 지금의 칫솔 형태가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빳빳한 돼지털을 동물뼈에 박아서

    사용된 것으로 이후 부드러운 말의 털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1802년 물과 토양에 불소가 풍부한 나폴리 사람들은 충치가 없는것을 발견하고

    치약에 불소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1860년 영국 분말 형태의 최초 치약이

    개발되어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tender8518입니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버들나무 가지를 돌로 으깨서 그것으로 치아를 관리했다는 기록이 있더라구요.

    예전에는 작은나무가지끝을 으깨서 치아에 달라붙은걸 때어냈던 모양입니다.

    소금으로 입을 헹구는것은 예전부터 했었고요.


  • 안녕하세요. 푸르스름한청가뢰166입니다.

    인류가 언제부터 양치질을 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한 자료가 없기때문에 아무도 알지못합니다만

    양치질에 관한 가장 이른 자료는 고대이집트부터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