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계절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4계절이 있는데 동남아같은곳은 1년 내내 여름만 있는건가여?지구는 둥글고 계속 회전하는거 아닌가요?계속 여름만 될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도부근의 지방도 사실 계절에 따른 온도의 차이는 있습니다
다만 태양에 노출되는 시간이 다른위도보다 훨씬 길기때문에 계속 여름인것처럼 느껴지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은 일 년을 단위로 일어나는 주기적인 기후 변화. 지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것과 관계가 있습니다.
지구는 23.5도 기울어져있는 상태입니다.
기울어진만큼 서로 반대편에 위치해있을 때 들어오는 태양빛의 양이 차이가 납니다.
여름과 겨울의 낮에 해가 떠있는 위치를 보면 여름은 거의 정중앙, 겨울은 약간 비스듬히 떠있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태양빛이 거의 수직으로 들어오는가 비스듬히 들어오는가에 따라 온도 차이가 나게 됩니다.지구가 공전하여 위치가 변하게 되면서 계절의 변화가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박태술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의 지구의 운동은 자전과 태양을 축으로 공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자전에 의해 생기는 것은 밤과 낮의 변화라면 공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계절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자전은 지축을 중심으로 23.5°기울어져 있어 태양과의 고도 차이에 의해 일사량을 크게 받을 때와 적게 받을때가 생기는데 지구의 1/4은 여름 (태양의 남중고도 가장 높을 때), 반대로 1/4은 겨울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을 때), 그리고 봄(1/4)과 가을(1/4)은 남중고도가 중간정도. 로써 기온의 차가 발생하고 이에 기단의 변화로 계절별 기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계절이 나타나는 이유는 지구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면서 북극기준으로 자전축이 태양쪽으로 기울어져 있을경우 여름이 되고 그반대일경우 겨울이 됩니다 .
하지만 적도의 경우 23.5도 기울어져 있어도 태양열을 받는 양이나 시간에 별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일년의 평균기온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지구에 있는 모든 나라는 다 같이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에 모두 같은 사계절 입니다.
우리나라가 겨울이면 호주도 겨울입니다.
다만 나라별로 주변 환경과 자전축, 태양 빛이 얼마나 받냐 등에 따른 환경으로
여름이나 겨울에도 따뜻한 경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