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재빠른거북이 795
재빠른거북이 79522.11.01

태풍의 크기와 세력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태풍의 종류가 굉장히 다양한것으로 아는데 어떤 이유로 태풍의 세력의 크기가 달라지고 그 크기에 따라 등급이 어떻게 나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생성 자체가 뜨거운 열을 받은 해양 표면의 물이 증발하면서 많은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상승 수증기가 열을 방출해 주변 공기 온도가 상승하면서 강한 상승 기류를 만드는 현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변 수분량과 기온에 영향을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바다로부터 거대한 수증기의 공급으로 만들어지므로, 바다에 오래 머물러있어 에너지를 계속 공급받을수록 커지게됩니다.


    즉, 바다위에서 이동속도가 느리거나, 태양에너지가 너무 세거나, 지구온난화로인해 바다의 증발량이 더 많아지면 강력해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강도의 영향을 미치는 큰 요인은 수증기량과 강한 저기압입니다. 이 두 요인이 10월부터는 약해지기 때문에 10월부터는 태풍이 우리나라로 잘 오지 않습니다.

    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 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 경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 하지만 이후에는 해수의 온도도 떨어지게 돼 증발되는 수증기량이 적어지고, 강한 저기압을 형성하지 못하여 태풍이 잘 형성되지 않으며, 세력이 약해 금방 소멸되어 한반도로 올라오기가 힘듭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1

    태풍의 에너지원은 열과 수증기 입니다.

    태양열과 복사열에의한 지구온난화로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 해수면의 온도가 높아지면 수증기도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여 해수면의 온도가 높아 강한 상승기류가 형성되고 수증기를 다량 빨아드리게 되면 강한 태풍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세기는 해수면의 온도와 상관이 있습니다

    태풍의 경로에서 해수면 온도가 높으면 세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태풍의 크기와 세력이 증가합니다. 보통 26도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을 하는것 같습니다.


  • 태풍은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

    즉, 공기를 데우고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환경이 갖추어질수록 태풍은 강해집니다.

    또한 태풍의 강도는 최대풍속으로 구분합니다.

    25m/s ~ 33m/s면 중, 33m/s ~ 44m/s면 강, 44m/s ~ 54m/s면 매우강

    이 이상이면 초강력으로 분류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