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같이 먹어도 무방합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접종 후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접종 후 심한 또한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에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떤 소염제인지를 알아야 정확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스테로이드계열의 소염제라고 가정을 한다면
타이레놀과는 함꼐 드셔도 괜찮은 편입니다.
하지만 스테로이드계열 소염제는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때문에 백신을 맞고 면역형성을 하는데 방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약을 먹으면 면역형성이 안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것이기 때문에
다래끼증상때문에 너무 불편함이 심하시다면 드시고
참을만하시다면 스테로이드제보다는 안약을 사용한다던가 다른 방법을 취하시는게 더 좋아보입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