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중력의 세기를 어떻게 알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태양은 지구 중력보다 약 28배 강하다고 하고, 목성의 중력은 지구의 중력보다 약 2.5배 강하다고 합니다.

근데 직접가서 중력을 측정할 수도 없었을텐데 어떻게 별들의 중력을 알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중력은 질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결국은 질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뭔가 문제입니다.

    태양같은 경우 밝기등으로 질량을 예측할 수 있고, 행성이나 위성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궤도에 따른 중력정도를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별들의 중력을 직접 측정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지구의 중력을 구한것과 ㄱㅌ이 질량과 반지름을 이용하여 뉴턴의 중력법칙을 사용하게 되면 중력상수와 중력을 발생시키는 큰 물체의 질량과 작은물체의 질량을 곱하고 두물체사이의 거리의 제곱을 나누어주면 이 값을 정확하게 알아낼수 있께 됩니다.

    위의 공식처럼 사용하며 이를 이용하여 별의 중력상수와 별의 질량 및 반지름을 이용하게 되면 알아낼수 잇께 되는것이지요. 그렇다며 ㄴ별의 질량은 어떻게 구하느냐? 보통 두별이 서로 공전하는 쌍성계에서 각 별의 공전주기와 궤도 크기를 알게 되면 케플러의 법칙을 이용하여 별들의 질량을 추정하게 되고 케플러의 3법칙을 사용하게 되면 별들의 질량을 계산하여 중력을 계산하느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얻게 되는것ㅇ비니다.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게 되면 별의 온도와 하학적인 조성 등을 파악해 낼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별의 나이와 진화 단계를 알아내고 별이 어느단계에 있는지 따라 이론적인 질량을 추정하고 별의 밝기와 표면온도 등을 통해 별의 질량과 연관성이 있따는것을 토대로 알아내게 되는 것ㅇ빈디ㅏ! 또한 별의 반지름은 별의 밝기와 표면 온도는 별의 크기와 관련이 있기에스테판 볼츠만의 법칙을 이용하여

    위의 식을 사용하여 별의 밝기와 표면 온도를 관측하여 반지름을 계산하게 되는 것잊이ㅛ~ 이 이후 별의 질량과 반지름을 알게 되면 별 표면의 중력가속도를 계싼할수 있게 되며

    위의 공식을 이용하게 되면 말씀하신 지구보다 28배 강한 중력가속도, 목성도 2.5배가 크다는 값을 계산하게 되실수 있께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