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광섬유 내부유리와 겉유리의 굴절률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
광섬유의 내부의 유리와 겉을 감싸는 유리가 굴절률 차이가 있어서 빛을 전반사한다고 알고있는데, 어떻게 굴절률의 차이가 나타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광섬유에서 빛이 전반 사하는 이유는 내부 코어와 외부 클래딩의 굴절률 차이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코어는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고 클래딩은 낮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차이는 주로 소재의 조성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코어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진 실리카 유리로 클래딩은 낮은 굴절률을 가진 실리카 유리로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굴절률 차이 때문에 빛은 코어 안으로 들어오면 클래딩으로 굴절되지 않고 계속해서 코어 안을 전반사하며 이동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광섬유의 경우 효율적인 빛 전송을 위해 코어와 그를 감싸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질문주신 바와 같이 전반사를 유도하기 위한 설계입니다. 이는 광섬유가 빛의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한 중요 역할을 하게 되며, 굴절류의 차이는 유리를 구성하는 화학적인 조성을 달리하여, 굴절률을 조절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