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흰구름과 먹구름이 동시에 보이는 현상은 왜 발생하나요

요새 하늘을 보면 비가 안올때 흰구름과 먹구름이 동시에 보이는 날이 더러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흰구름과 먹구름이 동시에 보이는 현상은 무엇때문에 발생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구름이 더 두껍고 수분의 양이 많아지면 햇빛을 가리면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흰구름과 먹구름 동시에 보이는 것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하게 되면서 형성하는데 이때 기온이나 습도 기압 상승기류 등 여러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치게 하죠. 흰구름은 주로 얇고 작은 물방울로 구성된 구름으로서 태양빛이 산란되면서 흰으로 보이게 되여 주로 높은 고도에 있는 구름이나 낮은 습도를 가지는 구름이 이렇게 보이게 됩니다! 먹구름은 두껍고 많은 물방울이나 얼음결정을 가지고 있는 구름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며 빛을 많이 흡수하거나 산란시키면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한지역에서는 여러 기상조건이 나타날수도 있으며 구름이 형성된 고도도 모두 다르며 형성되어있는 구름의 두께 자체도 다를수 있기에 한지역에서 여러 색의 구름이 보일수 있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