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소금쟁이는 갑자기 웅덩이에 어떻게 생기는 걸까?

원래 아스팔트였는데 비가와서 웅덩이가 갑자기 생긴곳에 어김없이 소금쟁이가 나타납니다. 맨땅에서 도대체 어떻게 나오는 거죠? 이해가 안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비가 와서 생긴 웅덩이에서 소금쟁이가 발견되는 이유는, 소금쟁이는 대부분의 소금쟁이는 날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비가 온 뒤 웅덩이가 생기면, 주변에 서식하던 성체 소금쟁이들이 날아와 새로운 물웅덩이에 정착하는 것인데요, 일부 소금쟁이는 비행형 개체와 비비행형 개체로 나뉘는데, 비행형은 새로운 서식지를 찾기 위해 날아다닙니다. 비가 온 후 일시적으로 생긴 웅덩이는 포식자가 적고 경쟁이 적기 때문에 소금쟁이에게는 좋은 기회입니다. 근처 작은 하천, 배수로, 도랑 등에서 유입되며 아스팔트 지역이라 해도, 배수구나 도랑, 물고인 그늘진 곳 등 아주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 수원들이 있습니다. 거기에서 살던 소금쟁이들이 비가 온 후 생긴 웅덩이로 헤엄치거나 기어가거나 날아와서 들어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소금쟁이는 짧은 시간 안에 번식할 수 있고, 알도 빠르게 부화하는데요, 또한 알은 건조한 환경에서 수분이 공급되면 다시 깨어날 수도 있습니다. 일부 종은 포자로 된 알 상태로 주변 습한 흙이나 잔디 틈에 붙어 있다가, 비가 와서 웅덩이가 생기면 부화하기도 합니다. 이것을 건면성 알(desiccation-resistant egg)이라 하며, 어떤 곤충들은 몇 달간 건조 상태에서도 알이 살아 있습니다.

    1명 평가
  • 소금쟁이도 날개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소금쟁이는 날개가 있어 필요하다면 날아서 다른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원래 살던 물웅덩이가 마르거나, 새로운 물웅덩이가 생기면 날아서 그곳으로 옮겨가는 것이죠.

    따라서 아스팔트 위에 갑자기 생긴 웅덩이도 소금쟁이에게는 새로운 서식지가 될 수 있으며, 주변에 있던 소금쟁이들이 날아와 그곳에 정착하게 되는 것입니다.

  • 소금쟁이는 보통 성충으로 겨울을 나며, 물이 마른 땅속이나 주변 식물에 숨어 지내다가 비가 와서 웅덩이가 생기면 날아와서 쉬어가거나 다시 활동을 시작합니다. 또한, 물 위나 물 주변 식물에 알을 낳기도 하여 갑자기 생긴 웅덩이에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아스팔트 위에 갑자기 생긴 웅덩이에 소금쟁이가 나타나는 것은 대부분 근처 하천이나 연못에서 날아서 이동해 착수했기 때문으로, 소금쟁이는 날개가 있어 비가 온 뒤 새로운 물자리를 빠르게 찾아가는 습성이 있습니다. 사람 눈에는 갑자기 나타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비가 그치자마자 하늘을 날다가 웅덩이를 발견하고 내려앉은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