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진리의 샘
진리의 샘

2030년, 전세계 석유 넘쳐 난다는 데 왜?

2030년 전 세계가 유례 없는 석유 공급 과잉 상황에 처할 것이라는 국제에너지기구(IAEA)경고가 나왔는데요. 왜 그런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말그대로 수요보다 공급이 많기 때문입니다.

    석유는 과거에 황금보다 귀한 시절이 있었습니다. 모든 기계장비가 석유로 움직였으니깐 석유의 가치는 천정부지로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석유의 가치는 갈수록 떨어지고 있습니다. 화력발전을 위해 석유를 사용하고 운송수단을 위해 석유가 사용되었지만 이 두곳에서 탄소배출량이 과다하여 지구 온난화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지목이 되다보니 발전과 운송쪽에서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화력발전소가 재생에너지 발전소로 내연기관 자동차가 전기차로 변화되는 과정이며 다른 산업군에서도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력을 만들어 보관하는 쪽으로 전환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석유나 석탄의 수요는 날이갈 수록 줄고 있습니다.

    그에 반에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석유원유로 부터 추출을 하는 기술은 올라가고 또한 석유를 탐지하고 시추하는 기술은 올라가고 있으니 석유의 가치는 계속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석유의 수요가 점차 줄어들어서 그런데요. 석유의 수요가 줄어드는 이유는 전기차, 청정에너지 및 대체에너지가 확산하고 있고 중국의 경제 구조가 바뀌며 전 세계 석유 수요 증가세가 둔화했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기본적으로 현재는 화석 연료를 사용을 해서 에너지를 만들지만

    점점 신재생 에너지나 여러가지 형태로 에너지를 만들다 보니

    석유 사용이 늘지 않아서 넘칠수 있습니다

  • 반갑습니다. 석유를 사용하는 곳이 줄어들게 되면 이런 현상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전기차가 확산되고 화석원료가 아닌 청정에너지를 비롯한 대체 에너지원이 확대된다면 석유 사용이 급감하게

    됩니다. 경제학자들은 중국의 성장률 감소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