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아이를 키우면서 아이에게 칭찬을 많이 하라고 하는데, 그런 좋은 말들이 아이에게 무조건 좋기만 한 걸까요?

잘못한 일이 있으면 벌을 주고 잘한 일은 칭친을 해줘야 하는데

저희 남편은 무조건적으로 칭찬을 해주고 잘하건 잘못하건

화를 안 내고 다 오냐오냐 합니다.

잘못을 했을 경우에 어떤 식의 화법이 아이에게 상처도 안주고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칭찬은 아이의 자존감과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데 매우 유용하지만, 무조건적인 칭찬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과도하거나 부정확한 칭찬은 아이가 진정한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게 하거나, 잘못된 기준을 배우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수를 해도 무조건적인 칭찬만 받는다면, 아이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기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는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아이가 배우도록 돕는 화법이 중요합니다. 먼저,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아이의 인격을 비난하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너는 왜 이렇게 게으르니?" 대신, "이번에는 숙제를 미루었구나. 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는 식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감정을 진정시키고 문제를 함께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의 결과를 경험하게 하되, 그 과정에서 지지와 애정을 느끼도록 해야 합니다.

    칭찬을 할 때도 구체적이고 진실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잘했어"라고 뭉뚱그리기보다는, "색칠을 정말 꼼꼼하게 잘했네. 노력한 게 보인다"처럼 아이가 무엇을 잘했는지 명확히 알려주는 칭찬이 더 좋습니다. 이처럼 적절한 칭찬과 훈육의 균형을 맞추면 아이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느끼고,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칭찬을 하라고 하는 의미는

    진짜 아이가 잘한 행동에 칭찬을 아끼지 말고 해주어야 함을 의미 하는 것인지 시도때도 없이 무조건적으로 잘한다 잘한다 칭찬 하라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칭찬 이라는 것은 아이가 정말 잘했을 때, 정말 칭찬 받을만한 행동을 했을 때 아낌없는 칭찬을 해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그 잘못된 부분을 알려주고, 왜 그 행동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고,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 잡아 주어야 합니다.

    훈육이 끝났다면 아이를 안아주고, 아이에게 오늘 엄마가 혼내서 마음이 너무 아팠지, 우리 00가 더는 나쁜 행동을 하지 않았으면 해서 엄마가 우리 00를 혼낸거야 다음부터는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조심하자 라고 부드럽게 말을 전달하면서 아이를 안아주고 아이의 등을 토닥이며 아이의 슬픈 마음을 다독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칭잔을 많이 하라고 하는것은 아이들의 자존감을 올려주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사소한 것들이라도 아이들에게 많이 칭찬을 해주시면 아주 좋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 아이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칭찬만 하면 아이들의 버릇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나쁜 행동을 할 경우에는 훈육을 강력하게 해주셔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는 아주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잘한 활동에 대해서 칭찬을하는것은 나쁜것은 아닙니다.

    잘모슬 했을때 아이에게 i massage로 이야기를 하면 도움이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