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호기로운파카188
호기로운파카188

조건 반복없이 단순한 연산자로 짝수 홀수 구분 어떻게 하나요..?

예제문제인데 ㅠㅠㅠ

조건 반복없이 짝수 홀수를 어떻게 구성하죠 ㅠㅠㅠ

도저히 생각이 안나네요 ㅠㅠ

도와주세요 여러분들 ㅠㅠ

리스트도 쓰면안되고

제가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오색조80
      호탕한오색조80

      어떤 언어인지는 모르겠으나, 프로그래밍을 할때 홀짝구분은 자주나오죠

      일반적으로 홀수 짝수 구분은 "나머지"를 많이 사용합니다. "나누기 아닙니다."

      2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면 짝수 1이면 홀수라고 볼 수 있겠지요

      10나누기2 : 몫5, 나머지 0

      9나누기2 : 몫4, 나머지1

      사용하는 언어가 무엇인지요?

      일반적으로 %를 많이 사용합니다. 10%2 를 하면 0이나올 것이고 9%2는 1이 나올거에요

      MOD연산자는 일반적으로 %이지만 MOD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MOD(10,2)

      검색키워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용하는 언어의 MOD연산자, 사용하는 언어의 나머지 연산자

      EX) C언어 MOD연산자, JAVA MOD연산자, C언어 나머지 연산자, JAVA 나머지 연산자

      포인트 :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 값이 0이면 짝수 1이면 홀수 입니다.

    • 질문이 애매하네요 .. 어떤 언어인지에 따라 다 방식이 다를텐데 조건반복없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일단 C# 기준으로는

      if(n%2 ==0){        

      check=true; //짝수

      }

      else{

      check = false; //홀수

      }

      이런식으로 하는 방법이 있을것 같네요! 어떤 언어인지, 어떤 조건이 없어야하는지 알려주시면 자세하게 말씀드릴수 있겠네요

    • 그냥 %2를 하면 짝수인지 홀수인지 바로 나오지 않을까요?
      입출력 이 어떤식인지 몰라서
      예제문제의 문항을 같이 올려주시면 좀 더 이해가 쉬울것 같습니다.

      int check(int a) {

      return a%2;

      }

      반환이 0이면짝수 1이면홀수

      조건이나 반복을 어디에 쓰지말라는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 boolean isEvenNumber(int num) {

      // num를 2로 나누었을때 0이면 짝수

      if (num % 2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질문 내용이 불명확해서 이런게 아닐까 싶어서 남겨봅니다.

      내용이 더 구체적이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짝수는 2로나누었을때 나머지없이 나누어 떨어지지요.

      그점에 착안하여 %연산자로 구분하시면됩니다

      가령 a%2 가 0이면 2로 나눈 나머지가 0이되니 짝수이고, 나머지가 있다면 홀수 겠지요

      위와같은 문제는 한번 노트에 차근차근적어서계산해보면 답을 찾으실수 있습니다.

      위와같이 코딩해보세요.

    • 연산자를 가지고 짝수 홀수를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나누기 연산자를 이용하여 구분하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짝수의 경우 나누게 되면 나머지 값이 0이 나오게 되고 홀수는 나누게 되면 나머지 값이 1이 나오므로 나머지 값을 가지고

      홀수와 짝수를 판별하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방법을 쓰면 다른 조건은 더 이상 필요 없을 것 같아 보이네요.

    • 음 예전에 조건문 반복문없이 짝수달 홀수달 구분해서 계산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그때 썻던 방법 참고 하시라고 올려봅니다.

      짝수달은 30일 홀수달은 31이라는 조건이 있었구요.

      아래와 같이 구현했었습니다.

      짝수달 날짜 = 입력달 % 2 + 30

      홀수달 날짜 = 입력달 % 2 + 30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우선 문항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간단히 말해 사용되는 언어와 주어진 제한조건에 대해 특정 할 수 있도록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우선 단순히 랜덤한 정수값이 주어지고 주어진 값의 홀,짝수 여부를 판단한다는 가정하에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주어진값 / 2 = 몫이 0이거나 정수면 짝수, 소수면 홀수 입니다.
      주어진값 % 2 = 나머지 0일때 짝수 , 0보다 클때는 홀수 입니다.

      예) 5 나누기 2 = 2.5 ( 소수 홀수 ) , 10 나누기 2 = 5 (정수 짝수)

    • 안녕하세요

      어떤 프로그램 언어로 예제문제를 푸시는지 모르겠네요..

      질문에 좀 더 상세히 적어 주셨으면 좋았을텐데

      여튼 조건문과 반복문 없이 짝수와 홀수 구분을 해야 한다면

      반복문은 원래 필요가 없고 조건문에서 판단해야할 값이 a라면

      if(a%2 == 0){ 출력함수("짝수"); }else{ 출력함수("홀수"); }

      원래는 이런식으로 판단해서 출력함수 (C에서는 printf, 자바에서는 System.out.println 함수) 사용하여 출력하시면 됩니다.

      근데 저런 조건식을 안쓰고 연산자로만 한다면 삼항연산자를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a%2 == 0 ? "짝수" : "홀수";

      이렇게도 간단히 판별 할 수 있긴 합니다. 저런 형태를 삼항연산자라고 하고 포털 사이트에 검색해보시면 예제가 많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프로그래밍 지식 답변자 입니다.

      홀수(odd number)란 정수 중에서 2로 나눠 떨어지지 않는 정수들을 말합니다. 홀수의 집합은 { x | x = 2n + 1 } 로 쓸 수 있습니다.

      이를 코드로 표현하려면 modulus(%) 연산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a = input('정수를 입력하세요 : ') if int(a) % 2 == 0 : print(f'{a}는 짝수 입니다.') else : print(f'{a}는 홀수 입니다.')

      답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