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탁월한태양새285
탁월한태양새285

농상집요라고 하는 것은 무슨 책인가요?

안녕하세요. 농상집요라고 하는 책은 어떤것을 다루는 책인가요? 그리고 농상집요의 저자는 누구인지도 알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원나라시대 발간된 농서. 1273년에 집성하여 1286년에 발간하였다. 원나라에서 발간된 만큼 원나라를 기준으로 적혀 있다. 1349년 충정왕 시기 이암이 원나라에서 고려로 수입하였다. 이 수입본은 한국 역사상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농서이다.

      원나라가 유목을 중시하는 기조에서 농사를 중시하는 성향으로 바뀌어 감을 알려주는 책이다. 농서가 발간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농경을 중시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이 책의 이름을 볼 일이 있는 이유는 단 하나, 1349년 이암이 고려에 수입하였기 때문이다. 3단 농서테크인 농상집요(고려 후기)-농사직설(조선 전기)-농가집성(조선 후기) 테크는 국사를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필히 외워두어야 한다.

      후에 나온 농사직설, 농가집성과는 다르게 중국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우리의 풍토와는 잘 맞지 않는다. 하지만 신진사대부들이 농업에 관심을 가지고 이 책을 수입했다는 것은 유교적 민본주의로 볼 수 있다. 또, 농사직설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출처: 나무위키 농상집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최초의 관찬농서로 원나라 조정에서 농업진흥을 위해 설치한 사농사의 창사문 등이 1273년 집성해 1287년 간행, 공포했습니다.

      경간, 파종, 재상, 과실, 약호 등 10문으로 되어있으며 제민요술을 비롯한 각종 문헌을 인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상집요는 1273년 원나라 책입니다.

      중국역사상 최초로 관청에서 편찬한 농서이며 맹기(孟祺), 창사문(暢師文), 묘호겸(苗好謙)이 저자라고 합니다.

      고려때 이암이 수입하였습니다.


      내용은 권1에 전훈(典訓)·경간(耕墾)-논밭 개간, 권2에 파종(播種)-씨앗부리기,

      권3에 재상(栽桑)-뽕나무 재배, 권4에 양잠(養蠶)-누에고치생산, 권5에 과채(瓜菜)-과일채소,

      권6에 죽목(竹木)-수목류· 약초(藥草), 권7에 자축-축산관련,

      끝에는 세용잡사(歲用雜事)- 등으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사집요 > 고려 때 이암 (1297~ 1364)이 원나라 부터 수입한 농서 입니다.

      중국 최초의 관한 농서로 원나라 조정에서 농업 진흥을 위하여 설치한 사농사의 창시문 등이 1273년에 집성하여 1286년에 간행.공포 하였습니다. 내용은 경간. 파종. 재상. 과실. 약초 등 10문 으로 되어있으며 제민요술을 비롯한 각종의 문헌을 조리있게 인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 조정에서 편찬한 농서로, 맹기(孟祺), 창사문(暢師文), 묘호겸(苗好謙) 등이 실제 저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1273년에 집성하여 1286년에 간행하였습니다. 총 7권에 경간(耕墾)⋅파종(播種)⋅재상(栽桑)⋅과실⋅약초 등 10문(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누에, 면화, 저마 등의 생산을 장려하고 있습다. 중국에서도 화북(華北) 지역의 농사법을 반영하였다고 평가됩니다.

      고려에서는 이암(李喦, 1297~1364)이 수입하였다고 전하며, 주로 지방 수령들이 주도하여 이를 간행하였습니다. 이는 향촌의 농업 생산력을 높이기 위한 관료층의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었습니다. 고려의 농사 방법 중에 이 책에서 특히 영향을 받은 부분은 토지 관리법과 분뇨를 활용한 방법 등으로, 당대 농업 생산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조선 초에도 농업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활용되었으며, 『농서집요(農書輯要)』, 『농사직설(農事直說)』 등의 농서 편찬에 영향을 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