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 썰물은 왜 동해에선 안생기나여?
안녕하세요
서해와 남해에 갯벌이 생기는 이유가 달과 지구간 만유인력으로ㅜ인해 생기는 걸로 아는데요
그럼 동해도 만유인력을 받을텐데.왜 안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동해도 마찬가지로 서해처럼 밀물 썰물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서해 대비 동해는 수심의 깊고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크지 않음에 따라 상대적으로 느끼지 못할 뿐 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동해도 밀물과 썰물이 생깁니다.
다만 수심때문에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밀물과 썰물에서 100의 물이 움직인다고 했을 대 서해는 1의 수심으로 100만큼의 거리에 바닷물이 퍼져 있지만 동해는 10의 수심에 10만큼의 거리에 바닷물이 퍼져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국 양쪽 모두 100만큼의 마닷물이 이동하는 것은 같지만 거리상으로 보면 100과 10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동해도 밀물과 썰물이 생깁니다 단지 동해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동해는 태평양과 맞닿아 있지만, 일본 열도의 영향으로 인해 조차가 크지 않습니다. 또한, 동해의 해저는 경사가 급하고 수심이 깊어, 밀물과 썰물의 영향이 미미합니다. 그래서, 동해에서는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크지 않아, 육안으로 보기에는 거의 차이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해양 조수선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동해는 다른 해양 지역과는 조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밀물과 썰물이 덜 두드러지거나 더 약하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
동해의 지형은 다른 해양 지역에 비해 비교적 완만하고 평탄합니다. 이는 파도와 조수선의 운동을 억제할 수 있어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줄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동해는 다양한 해류가 교차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해류는 밀물과 썰물의 운동을 조절하고, 물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동해의 해안선은 매우 가파르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서해에 비하여 넓고 깊은 바다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서해보다 밀물과 썰물이 잘 생기지 않는 것입니다.
서해는 밀려오는 바닷물이 좁은 서해로 들어와 높아지는 현상이 동해보다 잘 일어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동해안은 동쪽으로 태평양이 펼쳐져 있어 수심이 깊습니다. 단 서해안은 중국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심이 낮아 발생하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