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23.03.26

남의 불행에 행복을 느끼는 사람의 심리는?

인간의 이기심은 그래도 서로간의 경쟁이되기도하고 또 그러한 과정에서 서로 발전을 가져오기도 하는데

일방적으로 상대를 적개시하고 상대방의 큰불행에 아주 행복해 하는 사람들도 있는 것 같더라구요

도댜체 이런 사람들의 심리는 뭘까요?

심리 분석 가능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남의 불행을 보았을 때 기쁨을 느끼는 심리’라는 뜻의 단어가

    독일어로 ‘샤덴프로이데’입니다.

    손해를 뜻하는 ‘샤덴’과 기쁨이라는 뜻의 ‘프로이데’를 합성한 단어입니다.

    한국어로는 ‘쌤통’, ‘놀부심보’와 같은 맥락의 단어입니다.

    이는 질투와 깊은 연관이 깊은 감정인데,

    자신이 열등감과 질투를 느끼는 대상을 폄하하고,

    밑바닥으로 끌어내리는 것을 볼 때,

    칭찬을 들을 때와 같은 뇌의 부위가 자극을 받으며

    더 강하고 짜릿한 쾌감을 갖게 되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심리적 현상을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라고 합니다. 이것은 다른 사람의 불행에 대한 기쁨이나 만족의 경험입니다. Schadenfreude는 질투, 원한, 사회적 우위에 대한 욕망 등 다양한 심리적 요인에서 비롯될 수 있는 복합적인 감정입니다.

    이 심리적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자존감이 낮거나 다른 사람에게 위협을 느끼는 개인이 더 열악한 다른 사람과 비교할 때 다른 사람의 불행에서 우월감과 행복을 느낀다는 것, 부정적인 사건과 감정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방법인 자기 방어 메커니즘의 한 형태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의 불행에 행복을 느끼는 것은 일반적으로 "슈라더 프로이트(Shadenfreude)"라고 불리는 감정입니다. 이는 독일어로 "다른 사람의 불행에서 기쁨을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슈라더 프로이트는 다른 사람의 실수, 실패, 고난 등을 보고 그들의 어려움을 즐기는 것으로,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자기 자신이 남보다 더 나은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 더 많이 나타납니다.

    슈라더 프로이트는 보통 부정적인 감정으로 여겨지지만, 때로는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더 이상 억누를 수 없을 때나, 잘못된 행동에 대한 벌을 받는 것을 보고 얻는 보상감으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감정은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슈라더 프로이트를 느끼는 경우, 그 감정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를 돌아보고,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이용하거나 남을 비하하거나 놀리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샤덴 프로이데 심리 즉, 자기 자신이 가진 것이 없거나, 자존감이 낮을 경우 타인의 실책이나 불행에 대해서 보다 '크게' 평가를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스스로가 뭔지 모를 행복감을 느끼는 것인데 이런 심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아무래도 멀리 하시는 것이 좋긴 합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의 불행에 행복해 하는 심리에 대한 연구 결과가 있는데요. 약 10년전에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 연구진은 심리학에서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라는 용어로 불리는 이런 감정이 우월한 상대에 대한 질투심을 누그러뜨리고 자기긍정을 강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미국 심리학회가 발간하는 `이모션’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합니다. 실험 결과 자신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잘 나가는 학생에 더 위협을 느끼며 더 강한 샤덴프로이데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러나 자신감의 정도를 불문하고 위협을 많이 느끼는 학생일수록 샤덴프로이데를 더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하네요.
    연구진은 이어 피실험자의 절반에게 그들의 의견을 매우 중요하게 받아들인다는 인상을 주어 자신감을 북돋워 준 뒤 같은 면접 기록을 다시 읽도록 했다고 하는데 .이 때 자신감이 낮은 학생들은 여전히 샤덴프로이데를 더 많이 느꼈고 여전히 성취도 높은 학생에게 위협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