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헌신하는관박쥐30
헌신하는관박쥐30

낮잠을 잠깐 자고 일어나면 개운한 이유???

나이
33
성별
남성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밤에 여섯시간 일곱시간 자고 일어나도 피곤한경우거 많은데 낮잠 삼십분?? 막 이렇게 조금자고 일어나면 개운할때가 많은데 왜그런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전통적으로 낮잠을 게으른 습관이라 보는 시선이 많았지만 실제로는 하루 20~30분 정도의 낮잠이 신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많습니다. 낮잠을 자지 않고 졸음을 참으며 일을 할 경우 능률이 떨어지고 피로는 쌓이는 반면 낮잠을 자고 개운한 몸으로 일을 한다면 성과도 높일 수 있고 피로도 덜합니다. 이러한 결과로 낮잠을 오히려 장려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수면실을 사내에 마련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러한 문화가 자리잡지 못하고 있지만 도입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낮잠을 잠깐이라도 자는 것은 집중력 향상 및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의 적정 수면시간은 7-9시간으로 개인차가 있습니다.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으면 수면 자체가 부족할 가능성이 많아 좀 더 일찍 자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자기전 3시간 전에는 스마트폰이나 TV를 안 보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낮잠은 30분 이상은 자지 않는 것이 수면의 질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같은 시간을 자도 개운한 사람이 있는 반면 매우 피곤한 사람이 있습니다. 일단 낮잠을 주무신다면 15분 내외로 주무시는 게 좋지만 밤의 좋은 수면을 위해서는 가능한 낮잠을 주무시지 않는 게 좋으시고 잠자리에 드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결국에는 밤에 자는 수면의 문제 때문에 그렇지요. 자고 일어나면 개운해야 하는데, 개운하지 않다면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일 수 있답니다. 코를 곤다던지, 평소 긴장이나 스트레스가 많아서 깊은 잠을 못자는 것이지요. 그러니 낮잠으로 보충을 했을 때 개운하다고 느끼는 것이구요. 낮잠은 잠시 자는 것은 좋지만 너무 오래 자면 밤에 또 못자서 악순환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 낮잠을 짧게 자주는 행위는 피로를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비록 짧은 시간 휴식을 취하는 것이지만 개운함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