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우람한스컹크183
우람한스컹크183

멸종한 것으로 알려진 독도강치는 언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나요

일본에 의해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독도강치가 마지막으로 목격되것은 언제 인가요? 일본에 의해 마지막으로 잡힌 개체가 마지막 개체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줍은복어70
    수줍은복어70

    제가 알기로 강치는 일본에 대한 우리나라의 독도 영유권 주장 근거로 쓰일 수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한반도, 독도, 죽도에 눈독을 들이는데 우리나라가 국력이 약할 때(1900~1904) 마구 독도 근처에서 강치잡이를 했습니다. 그런데 고종의 아관파천 이후 친러 세력이

    조선 내에서 들끓자 일시적으로 강치잡이를 중단합니다. 러시아 정부가 고종 황제를 감싸고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의 눈치를 본 것이죠. 그런데 1905년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고 포츠머스 조약을 체결한 후부터

    다시금 강치를 마구 잡아갑니다. 즉, 조선에 대한 일방적, 강압적 무력 행사가 가능했을 때만

    강치잡이를 할 수 있었다는 말로, 1905년 당시 일본이 독도를 완전하게 자신의 영토로 인지하고

    있지 않았다는 맥락인 겁니다. 만약 독도가 그때도 명백히 일본 땅이었다면 조선에 친러세력이

    득세하던 특정 시기에만 강치잡이를 중단 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죠.


    복원시키면 좋은 점이라... 마찬가지로 종의 다양성이 확보가 되 겠으나... '과연 복원이 가능할까?' 싶습니다. 요즘엔 조금씩 강치들이 독도근처에 보이긴 한다는데 그게 가끔씩 관찰되는 정도라 '복원'까지는 다소 시간이 좀 필요할 것 같아 보입니다.

  • 동해안에서 주로 서식한 포유류 바다 생물이다. 무리지어 생활하면서 어패류를 잡아먹고, 20년 정도 산다. 몸길이는 2.5m가량으로 수컷의 경우 큰 것은 몸무게가 490kg에 달한다. 19세기 초 동해에 수만 마리가 서식했으나 1905년 이후 일본인들이 가죽과 기름을 얻기 위해 집중 남획하면서 멸종 위기에 처했다. 1972년 독도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됐으며, 1994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멸종을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