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8

진산사건이 무슨 사건이었나요???

안녕하세요.

한국사에서 '진산사건'이 무슨 사건이었나요?

진산사건이 발생하게 된 시기와 그 배경은 언제이며

진산사건의 사회적 파장은 어떻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791년(정조 15년)에 윤지충(尹持忠) 바오로와 권상연(權尙然) 야고보 등이 제사를 거부하고 부모의 신주를 불태운 사건.

    16~17세기 동양에 대한 예수회의 현지 적응주의 선교 방식은 가톨릭의 교세 확장에는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으나, 일각에선 이들의 선교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프란치스코회와 도미니코회 등은 조상의 제사를 용인하는 예수회의 방식을 우상숭배라고 비난했고, 예수회는 동양의 제사란 우상숭배가 아닌 하나의 문화적 관습이라고 옹호했다.

    교황청은 예수회와 도미니코회의 주장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다 결국 조상공경보단 조상숭배와 미신적 요소가 더 강하다고 판단한 당시 클레멘스 11세 교황에 의해[2] 조상 제사를 금지하였다.[3] 그 결과 가톨릭은 중국에서도 박해를 받는 등 고난을 겪게 된다. 이는 성리학적 질서가 지배하던 조선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제사가 금지되었음을 안 초기 천주교 신자들 중 양반 계층이 빠르게 이탈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출처: 나무위키 진산사건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말 정조 15년 천주교 신자였던 윤지충이 조상의 신주를 불태운 사건으로 그와 친척지간이었던 정약용이 노론으로부터 정치 공세를 받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1791년(정조 15년) 전라도 진산(珍山)에 사는 윤지충(尹持忠), 권상연(權尙然)이라는 두 선비가 부모의 제사를 거부하고 위패를 불태운 사건이다. 당시 조선은 주자학을 바탕으로 예학을 중시하여 이 사건을 매우 위중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진산 군수 신사원이 윤지충과 권상연을 체포하여 공주감영으로 압송하였고 감사 정민시(鄭民始)의 추궁에 위패를 불태웠다고 자백했다. 윤지충과 권상연은 천주교 신자였으며 교리에 따라 조상의 제사를 거부하고 위패는 불태웠던 것이다. 정조는 이들의 사형을 명령하였다. 윤지충과 권상연은 전주 풍남문 밖에서 참형에 처해졌다. 진산사건의 전모는 서울로 전해졌으며 정치적인 파장 또한 컸다. 정조는 서인을 견제하기 위해 남인을 등용하였는데 정치적으로 남인에 속했던 윤지충과 권상연으로 인해 서인이 남인을 공격하는 빌미를 제공하였다. 윤지충은 정약용(丁若鏞)과 외가 친척간이었으며 정약용은 진산사건으로 노론의 정치공세를 받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진산사건 [珍山事件]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23.05.29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해박해는 1791년(정조 15)에 일어난 최초의 천주교도 박해사건입니다. 신해사옥·진산사건(珍山事件)이라고도 한다. 가톨릭교가 해서(海西)·관동(關東) 지방의 민중 사이에 신봉되고 있는 동안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런데 1791년 전라도 진산군(珍山郡)의 선비 윤지충(尹持忠)과 권상연(權尙然:윤치중의 外弟)이 윤지충의 모친상(母親喪)을 당하여 신주(神主)를 불사르고 가톨릭교식으로 제례(祭禮)를 지냈다는 소문이 중앙에 들어오자, 권상연 등이 호남 출신이라는 데서 문제가 야기되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1791(정조 15)년에 일어난,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박해 사건. 전라도 진산에서 윤지충이 그의 모상(母喪)을 가톨릭교 방식으로 행한 것에서 발단되어, 나라에서 가톨릭교를 사학(邪學)으로 단정하여 가톨릭교 서적의 수입을 엄금하고, 교도인 윤지충, 권상연 등을 사형에 처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791년(정조 15년)에 윤지충과 권상연등이 제사를 거부하고 부모의 신주를 불태운 사건입니다.

    진산 사건을 계기로 조선 사회는 천주교인들을 부모도 섬기지 않는 도리를 모르는 범죄자로 간주해 19세기 말까지 박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