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차근이
차근이24.04.10

주식 매도후 바로 돈을 인출할수 없는데요

해외에서는 제가 알기로 매도후 1일인가 만에 돈이 인출된다고 하던데

우리나라 시장은 왜 주식 매도후 2~3일인가 후에 돈이 인출되나요..

이상한 금융법인데 왜 그런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매도 후 대금을 인출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은 제도적 요인 때문입니다. 이를 '제도적 결제 기간'이라고 하며, 현재 한국은 T+2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1. T+2 제도

    -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매매 체결일(Trade Date)로부터 2영업일 후에 실제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 즉, 매도한 주식의 대금은 매도일로부터 2영업일 후에 인출 가능한 자금이 됩니다.

    - 이는 매매 체결과 실제 결제 사이의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국가마다 다른 제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2. 제도적 결제 기간의 목적

    - 결제 기간을 두는 주된 이유는 거래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 일괄적인 결제 기간을 둠으로써 거래 체결과 결제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 이를 통해 거래량이 많은 날에도 안정적인 결제가 가능하며, 결제 실패에 따른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글로벌 추세

    - 글로벌 시장에서는 결제 기간을 단축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는 T+2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T+1 도입을 추진 중입니다.

    - 이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결제 인프라가 고도화되었기 때문입니다.

    4. 한국 시장의 고려사항

    - 한국은 2014년까지 T+3 제도를 운영하다가 현재의 T+2 제도로 단축한 바 있습니다.

    - 아직 T+1 도입에는 제도적, 기술적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다만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기준에 맞추어 결제 기간을 단축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제 기간이 있어 주식 매도 후 바로 현금화할 수 없다는 점은 투자자 입장에서 불편함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는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향후 기술과 제도 여건이 갖추어지면 한국 시장도 결제 기간을 단축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지만, 그 과정에서는 시장 안정성이라는 가치가 균형 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과 같은 경우 증권사, 한국거래소, 예탁결제원 등을

    거치는 등 전산작업이 필요하기에 바로 인출할 수 없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이라는 것은 회사에 대한 권리증서를 의미하는 것이다 보니 우리는 쉽게 매매를 하지만 이 권리증서의 이동에 따라서 회사에 대한 권리관계가 바뀌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고 해요. 이러한 권리관계 처리를 위해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2영업일로 잡다 보니 이러한 출금제도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D+2 제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의 매수와 매도는 항상 한국예탁결제원 이라는 곳을 거쳐서

    이뤄지기 때문에 실제로 돈이 출금되는 것은 48시간 이후에 가능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