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가을쯤에 달이 2개가 될수도 있다고 하는데 무슨 뜻인가요?

지구에는 달이 하나만 있잖아요. 어느 기사에서 헤드라인만 봤는데 가을쯤에 지구에 달이 2개가 될수 있다고 하는데 무슨뜻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그 기사를 직접 보지 못해서 어떤 내용인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네요. 당연히 달은 한개 밖에 없고, 달이 2개가 될 가능성은 전혀 없겠습니다..

    착시현상을 의미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달이 2개가 되는 현상은 잘 모르겠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가장 흔한 해석은 화성의 근접에 관련된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화성은 주기적으로 지구에 가까워지는 시기가 있는데, 이때 화성이 밤하늘에서 더 크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화성 대접근"이라고 부르며, 화성이 지구에 가까워지는 시기에는 밤하늘에서 밝고 큰 천체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화성이 달과 비슷하게 보일 수 있고, 이를 비유적으로 "두 개의 달"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화성이 실제 달처럼 커 보이진 않으며, 이 표현은 과장된 방식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화성 대접근 때 화성은 육안으로 더 밝고 눈에 띄게 보일 뿐, 달만큼 크지는 않습니다. 또 다른 가능성은 특정한 천문 현상 중 하나인 쌍둥이 천체 현상일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한밤중에 밝은 행성이나 천체들이 동시에 하늘에 떠 있을 때, 마치 두 개의 밝은 천체가 나란히 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의미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보통 목성이나 금성과 같은 밝은 행성들이 밤하늘에서 달과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관측될 수 있습니다. 일부 천문 현상에서는 달 외의 다른 밝은 천체가 마치 달처럼 잘 보이는 시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기사가 천문학적인 현상을 비유적으로 "두 개의 달"이라고 표현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때로는 잘못된 정보나 오해에서 비롯된 기사일 수도 있습니다. 과장된 정보나 비유적인 표현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달이 두 개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는 그 자체로 신비로운 현상을 강조하려는 비유적 표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