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올해 유럽이나 미국 일본에선 ESG의 어떤부분이 더 강조되고 있나요?

한국이나 주요 선진국에선 ESG의 환경이 즉 E가 상대적으로 강조가 됬었는데요

그러다 한국은 최근 G인 거버넌스가 강조되고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요 선진국인 유럽 일본 미국에선 ESG의 어떤 부분이 강조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선진국들의 ESG 트렌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유럽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이 가장 중요한 이슈입니다. EU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세우고, 각국의 탄소감축계획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죠.

      일본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고, 2030년까지 GHG 배출량을 2013년 대비 40% 감축한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미국도 기후변화 대응이 큰 관심사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30년 배출량 50~52% 감축 목표를 제시했죠. 특히 재생에너지 투자와 전기차 보급을 위한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외에도 세계 각국에서는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G와 S요소도 고려대상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요약하면, 주요 선진국들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E요소 강화에 주력하되, G와 S요소도 겸헌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한국도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를 고려해 ESG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글로벌 단위로 그린워싱(실제로는 그렇지 않지만 마치 친환경적인 것처럼 위장하는 기업 행동) 규제를 포함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요구가 커지는 것과 관련해 ESG 경영을 내실화해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최근에는 환경적인 측면의 강조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최근 ESG 부분 등의 고려 자체가 줄어들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요 선진국인 유럽, 일본, 미국에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중에서 환경과 사회 측면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유럽은 특히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대응을 강조하고 있으며 일본과 미국은 사회 문제와 기업 내부 지배구조 개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럽은 환경적, 사회적, 거버넌스적 요소 모두를 강조하며,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중요시합니다. 미국은 사회적 요소와 거버넌스에 더욱 초점을 두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영향과 투명성을 강조합니다. 일본은 거버넌스 측면에서 강조하며, 기업의 투명성과 이사회의 효율성을 중요시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유럽이나 미국에서 ESG 중 어떤 부분이 강조 되는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후반기에 미국에선 사회 및 지배구조의 중요도가 증가하였고

      이것이 2024년에도 이어지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