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많이일찍일어나는굉장히성실한사람
많이일찍일어나는굉장히성실한사람

지수이동평균과 단순이동평균? 어떤건지 그리고 업비트에서 설정해서 볼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지수이동평균과 단순이동평균이 무엇이며 어떤 차이가 있나요?

그리고 업비트에서 설정해서 볼 수 있는 건가요? 만약 할 수 있다면 설정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별점 잊지 않고 챙길게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수이동평균(EMA)와 단순이동평균(SMA)은 모두 가격의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SMA는 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을 계산하여 모든 데이터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반면 EMA는 최근 가격 변화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해 더 빠르게 반응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이 두 지표는 업비트에서 설정하여 볼 수 있고 업비트 차트에서 지표 설정 메뉴를 통해 SMA와 EMA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이동평균은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의 산술 평균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5일 단순이동평균은 최근 5일간의 주가를 더한 후 5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지수이동평균은 최근 데이터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두어 평균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최신 데이터가 과거 데이터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에 기반합니다.

    업비트 앱에서 이동평균선 설정은 

    오른쪽 위 화살표에 있는 톱니바퀴를 누르시고 이동평균선을 찾아 들어가시면 종류(단순, 지수, 가중) 

    기간, 색 그리고 선의 굵기를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수이동평균(EMA)과 단순이동평균(SMA)는 둘 다 주가나 지표의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동평균의 일종이지만, 이 두 가지는 계산 방식과 그에 따른 특성이 다릅니다.

    1. 단순이동평균 (SMA)

    정의: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평균한 값입니다.

    특징: 모든 데이터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가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지수이동평균 (EMA)

    정의: 최근 데이터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이동평균입니다.

    특징: 최근 데이터에 더 큰 비중을 두기 때문에 시장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시장이 빠르게 변하는 상황에서 SMA보다 더 정확한 시그널을 줄 수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가중치: SMA는 모든 데이터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반면, EMA는 최근 데이터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반응 속도: EMA는 최신 데이터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SMA보다 빠르게 반응합니다.

    이는 EMA가 갑작스러운 시장 변동을 더 빠르게 반영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이동평균선은 흔히 말하는 이동평균선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모든 가격 데이터의 평균을 단순히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10일 단순이동평균은 최근 10일간의 가격을 더한 후 10으로 나눈 값입니다. 대표적으로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을 쓰고 이런 5일선 20일선을 이야기할때 말하는 이동평균선이 단순이동평균선입니다.

    그리고 특별히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동일한 평균값으로 나눈지표이며 기간이 길수록 그만큼 후행성이 강한 지표입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단순이동평균선과 특정기간동안 모든가격데이터의 평균을 단순계산하지만 최근 데이터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두는 방식으로 계산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즉 지수이동평균은 현재 가격의 변화를 빠르게 반영하여 더 빠르게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단기 변동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단순이동평균선은 장기추세를 보는거기 때문에 월간차트나 연간차트 흐름을 볼때는 단순이동평균선이 더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