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의 점프력 연구는 로봇공학이나 인체공학에 어떤 응용이 가능할까요?
개구리의 점프력은 매우 놀랍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기계공학쪽에서 개구리의 점프력 연구를 어떻게 하고 있으며 로봇과 인체공학에 어떤형태로 응용이 가능한 분야인가요
안녕하세요.
개구리가 멀리 뛰는 건 근육만 쓰는게 아니라 힘줄에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순간에 터뜨리는 원리를 이용한 덕분입니다. 이 원리를 본떠서 로봇은 탐사용 점프 로봇이나 장애물 넘는 기계 같은데 응용이 되고 있죠. 효율적인 스프링의 원리를 보여주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
개구리는 뒷다리 근육에다가 순간적으로 에너지를 축적시키고, 이를 튕겨져 나가는 원리로 점프력이 나오게 됩니다. 로봇에서도 이러한 원리가 사용되기도 하죠. 생체 역학적인 연구가 기계 시스템에 있어서도 효율적 운동 설계에 직접 기여하는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기계공학에서는 개구리 점프력 연구는 근육 구조 힘 전달 에너지 저장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진행하며 고속 카메라와 센서로 운동 데이터를 정밀 측정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로봇 분야에서는 뛰어오르거나 장애물을 넘어야 하는이동 로봇 서계에 활용됩니다 또한 인체 공학에서는 근력 향상 장치 재활 보조기기 등 사람의 운동 능력을 증강하는 기술 개발에 응용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개구리의 점프력은 정말 놀라울 때가 있습니다. 때론 징그럽기도 하죠. 개구리의 경우 근육의 순간적 에너지를 축적을 했다가 이것을 힘줄의 탄성을 이용해서 사용합니다. 로봇 공학에서도 도약 로봇의 설계나 소형 탐사용 로봇에 응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인체공학적으로도 보조 외 골격 장치나 재활 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구요.